독서 3

왜 책을 읽어야 할까?

왜 책을 읽어야 할까?왜 책을 읽어야 할까?1년에 책 한 권 안 읽는 사람이성인 10명 중 6명이라고 한다. 정보가흘러넘치는 디지털 시대에 책을 읽어야 하는이유는 뭘까? 독서를 해야 하는 이유는 제대로읽고 판단하는 능력, 즉 문해력 때문이다. 문해력은그저 글을 읽거나 단어의 의미를 아는 것을뜻하지 않는다. 다양한 맥락으로 연결된자료를 통해 정보를 발굴하고 이해하고새롭게 해석하여 소통까지 이르는능력을 뜻한다.- 김을호의 《결국 독서력이다》 중에서 -* 문해력은 실력입니다.세상을 헤쳐가는 막강한 무기입니다.문해력의 출발은 독서입니다. 그러나 단지 책을 읽고해독하는 것에만 국한되지 않습니다. 우리는 서로 대화를하면서도 소통의 부재를 느낍니다. 상대가 무슨 말을 하는지제대로 이해하지 못하는 사람들이 늘어갑니다...

'책과 돈'에 대한 유대인의 격언

'책과 돈'에 대한 유대인의 격언 "돈 빌려주기는 거절해도 좋지만 책 빌려주기를 거절해서는 안 된다. 만약 책과 돈이 동시에 땅에 떨어져 있다면 먼저 책부터 집어 올려라." 이 격언을 보면 유대인이 얼마나 독서를 중요시하는지 단적으로 알 수 있다. 그들에게 독서는 일종의 신앙이다. 세계에서 독서를 가장 많이 하는 민족이 유대인이다. - 김태윤의 《스스로 답을 찾는 아이》 중에서 - * 독서는 개인을 살리고 민족을 일으킵니다. 독서하는 민족이어야 세계를 움직입니다. 하다못해 누구에게도 조언을 구할 수 없을 때 책을 읽으면 답을 얻습니다. 우연히 꺼내든 책 속에 칼 융의 싱크로니시티처럼 절묘하게 답이 들어있습니다. 책은 스승들입니다. 연인입니다.

(얼레빗 4121호) 정조, 독서는 작가의 동산에서 거니는 것

한국문화편지 4121호 (2019년 07월 15일 발행) 정조, 독서는 작가의 동산에서 거니는 것 [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4121][우리문화신문=김영조 기자] “나는 일찍이 '경전을 연구하고 옛날의 도를 배워서 성인(聖人)의 정밀하고도 미묘한 경지를 엿보고, 널리 인용하고 밝게 분별하여 아주 오랜 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