들여름달 16

[토박이말 살리기]-빨래와 아랑곳한 토박이말

누구나 이레끝(주말_만 되면 쉬고 싶은 마음이 굴뚝같지만 안할 수 없는 일 가운데 하나가 빨래가 아닐까 생각합니다. 밖에 나가지 않고 집에 있으면 가장 먼저 할 일이 빨래고, 놀러 갔다가 오더라도 빨래는 해야 입고 신을 수 있으니 말입니다. 그래서 ‘빨래’와 아랑곳한 토박이말을 몇 가지 알려드리고자 합니다. 우리가 잘 아는 낱말부터 살펴보겠습니다. 옛날에는 빨래를 하려면 빨랫감을 가지고 냇가나 샘가에 가야했습니다. 그래서 빨래를 하는 곳을 가리켜 ‘빨래터’라고 했습니다. 빨래를 할 때는 손으로 조물조물 주물러 빨기도 했지만 이게 있어야 빨래를 하는 맛이 났다고 할 수 있는데 그게 바로 ‘빨랫방망이’입니다. 요즘에는 집집마다 집에서 빨래를 하기 때문에 볼 수가 없는 것이 되어버렸습니다. 그리고 ‘세탁기’라..

[토박이말 살리기]1-45 달램수

어제 저녁에는 여느 날보다 좀 일찍 마실을 나갔습니다. 늘 걷는 냇가에 가까이 갔을 때 생각보다 많은 사람들로 깜짝 놀랐습니다. 저는 못 봤지만 저녁마다 이렇게 많은 사람들이 움직이고 있었던 거였죠. 사람이 많다보니 제가 가는 앞쪽에 있는 사람들을 앞질러 가는 것도 마음이 쓰였고, 맞은 쪽에서 내려오는 사람들도 마음에 쓰였습니다. 그래서 다음부터는 늦게 나오는 게 좋겠다는 생각을 하며 힘차게 한 바뀌 돌고 오니 땀도 나고 좋았습니다. 오늘 알려드릴 토박이말은 '달램수'입니다. 이 말은 말집(사전) 가운데 표준국어대사전에서는 '달래서 꾀는 수단'이라고 풀이를 하고 있지만 보기월이 없고 고려대한국어대사전에는 올라 있지 않습니다. 이렇게만 보면 말집(사전)에 오르지도 못했고 쓴 보기월도 없는 말이니까 몰라도 ..

[토박이말 살리기]1-44 단물곤물

지난 엿날(토요일)은 어버이날이었습니다. 가시어머니, 가우남편과 함께 밭에 가서 고구마를 심고 고추 버팀대를 세우고 왔습니다. 자잘먼지인지 흙비인지 잘 모르겠는 것이 뿌옇게 끼인 가운데 바람까지 많이 불었지만 자꾸 미룰 수가 없었습니다. 운김에 해서 그런지 일도 생각했던 것보다 일찍 끝이 나서 시골 아버지, 어머니께 다녀올 수도 있었습니다. 밝날(일요일) 날이 바뀐 뒤에 잠이 들어서 늦게 일어나지 싶었는데 일찍 잠이 깨어서 여느 밝날과 달리 긴 하루를 보냈습니다. 아침을 챙겨 먹고 설거지를 한 다음 가시아버지께 다녀와서 뒤낮에는 스승님을 만나 뵙고 왔는데도 해가 한참 남아 있었으니까요. 어머니 기림날(제삿날) 이었지만 빛무리 한아홉(코로나 19) 때문에 모이지 못해 저마다 집에서 어머니를 생각하며 보냈습..

[노래에서 길을 찾다]8-바람길

까닭 모를 바람이 잦은 요즘 날씨와 어울리는 노래를 찾고 있었던 것처럼 제 눈에 들어온 노래입니다. 이름을 보고 노랫말을 찾아보았더니 제 생각과 같이 토박이말이 잘 살아 있어서 더 반가웠던 노래, '바람길'. 4348해(2015년)에 나왔는데 임강현 님의 노랫말에 신유진 님이 가락을 붙였고 장윤정 님이 불렀답니다. 노랫말 가운데 '기억', '사진'을 빼면 모두 토박이말로 되어 있습니다. 노랫말을 톺아보면 이 노래도 지나간 사랑 때문에 슬퍼하는 마음이 나타나 있습니다. '걷다가 울다가 서러워서 웃는다' 에 드러나는 갈피를 잡을 수 없는 마음, '에일 듯 시리운 텅 빈 내 가슴'에 아픈 마음이 잘 드러나 있습니다. 그런데 '끝이 없는 이 길'이라는 말에서 그 아픔이 얼른 가시지 않을 거라는 것을 알 수 있어..

[아들, 딸에게 들려 주는 좋은 말씀]16-아무 하는 일 없이 ...

오늘 알려 줄 좋은 말씀은 "아무 하는 일 없이 헛되이 때새를 쓰지 않겠다고 다짐하라. 우리가 늘 뭔가를 한다면 놀라우리만치 많은 일을 해 낼 수 있다."야 이 말씀은 미국 독립선언문을 쓴 '토마스 제퍼슨' 님의 말씀이라고 해. 내가 늘 하는 이야기와도 이어지는 말이라 반갑기도 했어. 가만히 하루를 돌아보며 어떻게 때새(시간)를 보내는지 생각해 보렴. 일어나서 다시 잠이 들 때까지 내가 헛되이 보내는 때새는 없는지 생각해 보자는 것이야. 그런 때새가 없도록 하는 것이 좋겠다는 말씀이고 그런 때새에 무엇이든지 하면 놀라울 만큼 많은 것을 할 수 있다는 말씀이지. 아침에 조금 일찍 일어나서 기쁜 마음으로 몸을 깨운 뒤 물을 한 그릇 먹는 게 좋다는 구나. 그 다음에는 몸을 골고루 가볍게 움직인 다음 해야 할..

[토박이말 살리기]1-43 다붓하다

오늘 알려 드릴 토박이말은 '다붓하다'입니다. 이 말은 '표준국어대사전'에서는 '매우 가깝게 붙어 있다'라고 풀이를 하고 있고 고려대한국어대사전에는 나오지 않습니다. 한글학회에서 펴낸 '우리 토박이말 사전'에는 '떨어진 사이가 바투 붙은 듯하다'라고 풀이를 해 놓았습니다. 여기서 '바투'가 '두 일몬(사물) 사이가 꽤 가깝게'라는 뜻이니까 풀이가 크게 다르지 않음을 알 수 있습니다. 안타깝게도 이 말을 쓴 사람이 없었는지 보기월이 없었습니다. 하지만 이 말을 알고 나면 쓸 일이 많다는 것도 알게 됩니다. 요즘 빛무리 한아홉(코로나 19) 때문에 힘들어 하는 요즘 '드물게 지내기(사회적 거리 두기)'를 자주 듣게 되고 말하게 됩니다. '가깝게 붙어 있지 마라'고 할 때 '다붓하지 마라'고 해도 되지 싶습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