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시 3

국가무형유산 「궁중채화」 보유자로 최성우 인정 예고

국가유산청(청장 최응천)은 국가무형유산 「궁중채화(宮中綵花)」 보유자로 최성우(崔盛宇, 서울, 1960년생) 씨를 인정 예고하였다. 국가무형유산 「궁중채화」는 옛 왕실의 각종 연회와 의례에서 사용된 가화(假花, 조화)를 뜻한다. 비단, 모시, 밀랍, 깃털 등 다양한 재료를 정성스럽게 다듬고 염색하여 모란, 복사꽃, 연꽃 등 상서로운 의미의 꽃과 곤충, 동물을 정교하게 재현한다. 궁중채화는 궁중의 권위나 위계, 품위를 나타내는 중요한 장식품이었으며, 평화ㆍ장수ㆍ건강 등의 상징으로 사용되었다. ▲ 국가무형유산 「궁중채화」 보유자로 인정 예고된 최성우 씨 국가무형유산 「궁중채화」 보유자 인정조사는 지난해 공모 뒤 서면심사와 올해 초 현장조사를 해 「궁중채화」의 핵심적인 기능을 확인하였으며, 무형유산위원회 검토..

한국전통문화대학교, ‘모시, 어제와 오늘을 삼다.’ 전시

문화재청 한국전통문화대학교(총장 직무대리 정용재)는 오는 14일부터 23일까지 예올 북촌가 한옥(서울 종로구)에서 전통미술공예학과 전통섬유전공 학생들의 작품을 전시하는 ‘모시, 어제와 오늘을 삼다.’를 연다. 전시는 한국전통문화대학교의 특성화된 교육 과정의 성과를 홍보하고, 한국 의생활 문화에서 모시의 값어치를 이어가기 위한 다양한 시도를 선보이기 위해 마련되었다. * 삼다 : 전통 모시 제작과정에서 모시실을 만들 때 모시올을 서로 연결하는 기법을 가리키는 것으로 전통문화의 연속성 및 전승 역할과 활동 등을 조망하고자 함 전시관은 한국인에게 여름 옷감으로 오랫동안 사랑받아온 모시의 기품을 선보이고 새로운 적용 사례를 소개하는 세 개의 공간으로 구성된다. ▲ 1층 한옥 전시장에서는 한국전통문화대학교 심연옥..

(얼레빗) 3329. 입이 부르트고 피가 나면서까지 쪼개서 만든 모시

날마다 쓰는 한국문화 편지 <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다른 얼레빗 모두 보기 단기 4349(2016). 7. 12. “세모시 옥색치마 금박물린 저 댕기가” 김말봉 시, 금수현 곡의 가곡 “그네”의 가사입니다. 여기서 “세모시”는 “올이 가늘고 고운 모시”를 일컫지요. 이제 더위가 한창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