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달나무 4

(얼레빗 제4813호) 내일은 곡우, 부부는 잠자리도 하지 않아

“갓 올린 잎새를 달고 별 바라보던 가지 끝에 곡우(穀雨) 나리시면..... 겨우내 할퀴던 바람이 첫사랑의 숨결처럼 달콤하고 별빛 부서지던 잎새, 촉촉한 입술을 반긴다. 곡우 발길 아래서 부정한 사람은 악귀를 몰아내고 볍씨를 담그는 농부의 손은 조심스럽다.” ▲ 곡우를 맞아 밭갈이에 바쁜 농부(독자 양경님 제공) 홍순천 시인의 시 ‘곡우(穀雨)’ 일부입니다. 내일은 24절기의 여섯째로 봄의 마지막 절기 ‘곡우(穀雨)’지요 “곡우(穀雨)는 봄비(春雨)가 내려 백곡(百穀)을 기름지게 한다.”라고 하여 붙여진 말인데 곡우 무렵이면 못자리를 마련하기 시작하여 본격적으로 농사철로 접어듭니다. “곡우에 모든 곡물들이 잠을 깬다.”, “곡우에 가물면 땅이 석자가 마른다.”와 같은 농사와 관련한 다양한 속담이 전합니다..

(얼레빗 4419호) 낭군이 미워서 두드렸을 다듬이질

예전 어느 집이나 다듬잇돌과 다듬이방망이가 있었습니다. 하얀 홑청이 적당히 마르면 얌전히 접어서 다듬잇돌 위에 얹고 두드립니다. 고된 시집살이를 하던 아낙들은 어쩌면 마음을 몰라주는 낭군이 미워서 두드렸을지도 모르지요. 다듬질할 때는 혼자 또는 다듬이를 가운데 두고 두 사람이 양쪽에 앉아서 하는데 둘이서 할 때는 주로 모녀(母女)나 고부(姑婦) 또는 동서(同壻)끼리 방망이가 부딪치지 않도록 서로 호흡을 잘 맞춰서 했지요. ▲ 아낙들이 낭군이 미워서 두드렸을 다듬잇돌과 다듬잇방망이 다듬잇돌은 옷감ㆍ이불감 등의 천을 다듬을 때 밑에 받치는 살림도구로 화강암ㆍ납석ㆍ대리석 따위로 만들며, 박달나무ㆍ느티나무 같은 단단한 나무로도 만듭니다. 두꺼운 직사각형 모양으로, 크기는 보통 길이 60cm, 높이 20cm, 너..

9월 18일 -'보기 좋은 떡이 맛도 좋다' 떡살을 소개합니다

비 종류 가운데는 '떡비'라는 것도 있습니다. 가을에 비가 내리면 떡을 해먹는다고 해서 그렇게 부릅니다. 이제 수확을 하게 되면 풍요로워지고 가을비가 오지 않더라도 혼인을 비롯한 잔치를 하면 절편 따위의 떡을 해먹지요. 그런데 절편이라고 하는 흰떡이나 쑥떡 겉을 보면 여러 가지..

4월 20일 - 곡우가 왔습니다, 백곡이 기름질 것입니다

24절기의 여섯째. 봄의 마지막 절기로, 양력으로 4월 20, 21일 무렵입니다. 청명과 입하(立夏) 사이에 들며 백곡(穀)을 봄비(雨)가 기름지게 한다 하여 붙은 말이지요. 그래서 ‘곡우에 가물면 땅이 석 자가 마른다’라는 말이 있습니다. 옛날에는 곡우 무렵에 못자리할 준비로 볍씨를 담그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