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두산정계비 3

(얼레빗 제4815호) ‘백두산정계비’ 표시된 <대동여지도> 환수

국외소재문화재재단은 일본에서 환수한 를 지난달 30일 언론에 공개했습니다. 이번에 환수된 는 1864년 제작된 목판본에 가필, 색칠하고 에 기술되어 있는 지리정보를 필사(筆寫)해 더한 것으로, 와 가 하나의 지도에 담겨 있어서 목판본인 의 한계를 의 주기 내용을 필사해 보완한 처음 사례로 확인됩니다. ▲ 일본서 환수된 (전체 23첩) 는 김정호가 의 저본(底本)으로 삼았던 것으로 볼 수 있는 조선전도로, 조선시대의 교통로와 군사시설 등의 지리정보와 약 18,000여 개에 달하는 지명이 실려 있는 채색 필사본입니다. 이에 반해 는 목판으로 새겨야 하는 한계 때문에 많은 지명과 주기(註記)가 생략되어 있지요. 이번에 환수된 에서 무엇보다도 가장 주목할 것은 의 주기 내용이 대부분 필사되어 상세한 지리정보를 ..

돌아온 <대동여지도>, 조선의 꿈을 그리다

문화재청(청장 최응천)은 3월 30일 아침 10시 30분 국립고궁박물관(서울 종로구)에서 국외소재문화재재단(이사장 김정희, 아래 재단)을 통해 일본에서 환수한 를 언론에 공개한다. 이번 환수는 해당 유물 소장자가 팔 의사를 밝히면서 그 존재가 확인되었으며, 정보 입수 이후 문화재청의 적극적인 행정 지원과 수차례에 걸친 재단의 면밀한 조사, 관계자 사이 긴밀한 협업을 바탕으로 올해 3월 국내로 들여오는 데 성공했다. ※ 대동여지도(大東輿地圖) - 1864년 목판본(갑자본)에 필사 / 23첩(목록 1첩, 지도 22첩) 완질 크기: 각 30cm × 20cm / (전체 개첩시) 약 6.7m × 약 4m 는 조선의 지리학자이자 지도 전문 출판자인 김정호(金正浩, 1804 추정〜1866추정)가 1861년에 처음 제..

19세기, 한국의 역사와 지리 정보를 담은 《해좌전도海左全圖》

《해좌전도海左全圖》는 1850년대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는 대표적인 목판본 조선전도다. ‘해좌海左’는 중국을 기준으로 바다 동쪽을 가리키는 것으로 조선을 의미한다. 지도의 전체적인 윤곽은 정상기의 〈동국대전도〉와 유사하여 산줄기와 물줄기, 자세한 교통로 등이 그려져 있다. ▲ 《해좌전도海左全圖》 여백에는 백두산, 금강산, 설악산 등 10여 개 명산의 위치와 산수에 대한 간략한 설명, 섬, 백두산정계비, 초량왜관草梁倭館 등에 관한 기록이 실려 있다. 아울러 고조선古朝鮮, 한사군漢四郡, 신라 구주新羅九州, 고려 팔도高麗八道의 고을 수를 좌측상부 여백에 기록하여 우리나라의 현재와 과거를 한 눈에 볼 수 있게 했다. 울릉도 옆에 독도까지 그려져 있어서 일본의 독도 영유권 주장을 반박할 수 있는 중요한 자료이기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