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로초 4

한국 궁궐의 아름다운 굴뚝정원 '경복궁 아미산'

▲ 평면이 사각형인 모습으로 3개의 아궁이에서 나온 연기가 모여 나오는 굴뚝 ▲ 궁궐 담장 안에 사각형 모습의 굴뚝이 서있다. 왼쪽 침실 건물에서 지하로 통한 연도(연기가 지나가는 길)와 연결되어 있다. ▲ 궁궐 담장 안쪽에 6각형 평면의 굴뚝들이 줄지어진 굴뚝 정원 아미산 ▲ 다른 각도에서 본 아미산 굴뚝들 ▲ 아미산 정원은 3단으로 구성되었으며, 굴뚝과굴뚝 사이에는 괴석대와 다양한 화초들이 심어져 있다. ▲ 굴뚝의 각 면에는 다양한 색깔의 벽돌들로 구성된 모자이크 그림이 새겨져 있다. 지붕 위에 연기가 나오는 연가(煙家, 굴둑 위에 꾸밈으로 얹는 기와로 만든 지붕 모양)가 여러개 놓여있는 모습이 잘 보인다. ▲ ▲ 5, 6 ▲ 궁궐 담장 내부 모습. 다양한 모자이크로 그림을 그렸다. ▲ 궁궐 담장과 ..

십장생도 병풍 기념우표

오랫동안 건강하게 살고 싶은 인간의 욕망은 동아시아에서 독특한 상징과 문화로 발달했고, 이는 예술 작품의 모티브가 되었습니다. 특히 불로장생을 뜻하는 10종류의 자연물을 가리켜 한국에서는 ‘십장생’이라 하는데, 이러한 십장생은 다양한 수공예품과 생활 도구에도 표현되어 지금까지 전해집니다. 이번 기념우표에서는 삼성그룹 고 이건희 회장이 국립중앙박물관에 기증한 ‘십장생도 병풍’을 소개합니다. 불로장생(不老長生)을 상징하는 십장생은 주로 해, 산, 물, 돌, 소나무, 대나무, 구름, 영지, 거북, 학, 사슴 등의 10가지 내외의 자연물을 일컫습니다. 이 병풍에는 십장생에 신선 세계의 복숭아 ‘반도(蟠桃)’까지 더하여 화폭이 더욱 풍성합니다. 그림을 살펴보면, 10폭 병풍의 긴 화면 중심부에는 소나무들이 둔덕에..

세화와 축수용으로 선계를 그린 <십장생도>

오래 사는 것 열 가지를 그린 것을 ‘십장생도十長生圖’라고 합니다. 그런데 열 가지가 안 되면 그저 ‘장생도長生圖’라 부르고, 한 가지씩 그린 것이면 ‘군학십장생도群鶴十長生圖’ ‘군록십장생도群鹿十長生圖’처럼 부르기도 하지요. 십장생으로는 보통 해, 구름, 뫼(산), 물, 바위, 학, 사슴, 거북, 소나무, 불로초를 꼽지만 그밖에 대나무와 천도天桃(하늘나라에서 나는 복숭아)를 그리기도 합니다. 보통 가운데에 사슴이나 학을 그리고 왼편에 바다와 거북을 그리는데, 아름다운 빛깔을 최대한 살려 상상 속의 선계仙界를 묘사하며, 대체적으로 8~10폭으로 된 병풍 그림이 많습니다. 새해에 임금이 신하들에게 장생도를 선물로 내렸다는 기록이 있는 것으로 보아 는 주로 왕실 등에서 오래 살기를 비는 축수祝壽용 그림이나 세..

화조영모 병풍 기념우표

아름다운 꽃과 새, 동물이 어우러진 ‘화조영모화(花鳥翎毛畫)’는 공간을 아름답게 꾸밀 뿐만 아니라 행복을 기원하는 기복(祈福)의 의미를 담은 그림이었습니다. 조선 후기에는 많은 화조영모도 병풍이 제작되었으며, 오원 장승업(吾園 張承業, 1843~1897)은 거침없는 필력으로 이름을 날린 조선 말기의 거장이었습니다. 우정사업본부는 화려하고도 우아한 조선 시대 화조영모화의 진수를 맛볼 수 있는 장승업의 화조영모도를 소재로 기념우표를 발행합니다. 19세기 말 개화기에 활동했던 화가 장승업은 어려서 부모를 잃고 한양으로 들어와 역관(譯官) 이응헌(李應憲)의 집에 신세를 졌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이응헌이 청나라를 왕래하며 수집한 명인들의 서화를 접한 장승업은 어깨너머로 그림을 배워 그리기 시작했습니다. 그의 재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