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장 부호」 일람표 부호 이 름 용 법 . 마침표 • 서술, 명령, 청유 등을 나타내는 문장의 끝에 쓴다. • 연월일을 표시하거나 특정한 의미가 있는 날을 나타낼 때 쓴다. ? 물음표 • 의문문이나 물음을 나타내는 어구의 끝에 쓴다. • 적절한 말을 쓰기 어렵거나 모르는 내용임을 나타낼 때 쓴다. ! 느낌표 • .. 우리말을 배우자/문장 부호 해설 2020.02.08
문장 부호 전문 (5) - 7. 빗금, 8. 큰따옴표, 9. 작은따옴표 7. 빗금(/) (1) 대비되는 두 개 이상의 어구를 묶어 나타낼 때 그 사이에 쓴다. (예) 먹이다/먹히다 (예) 남반구/북반구 (예) 금메달/은메달/동메달 (예) ( )이/가 우리나라의 보물 제1호이다. (2) 기준 단위당 수량을 표시할 때 해당 수량과 기준 단위 사이에 쓴다. (예) 100미터/초 (예) 1,000원/개 (3).. 우리말을 배우자/문장 부호 해설 2020.02.01
문장 부호 해설 - 7. 빗금(/) (2) (3) 시의 행이 바뀌는 부분임을 나타낼 때 쓴다. (예) 산에 / 산에 / 피는 꽃은 / 저만치 혼자서 피어 있네. 다만, 연이 바뀜을 나타낼 때는 두 번 겹쳐 쓴다. (예) 산에는 꽃 피네 / 꽃이 피네 / 갈 봄 여름 없이 / 꽃이 피네 // 산에 / 산에 / 피는 꽃은 / 저만치 혼자서 피어 있네 본문에 제시된 (.. 우리말을 배우자/문장 부호 해설 2020.01.08
문장 부호 해설 - 7. 빗금(/) (1) (1) 대비되는 두 개 이상의 어구를 묶어 나타낼 때 그 사이에 쓴다. (예) 먹이다/먹히다 (예) 남반구/북반구 (예) 금메달/은메달/동메달 (예) ( )이/가 우리나라의 보물 제1호이다. 둘 이상의 어구를 서로 대비해서 보이고자 할 때 빗금을 쓴다. 일반적으로 상위어 또는 상위 개념이 같으면서도.. 우리말을 배우자/문장 부호 해설 2020.01.07
문장 부호 해설 - 문장 부호 문장 부호 문장 부호는 글에서 문장의 구조를 드러내거나 글쓴이의 의도를 전달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부호이다. 문장부호의 이름과 사용법은 다음과 같이 정한다. 이 규정은 문장 부호의 정의와 범위를 명확히 하기 위하여 새로 추가된 것이다. 문장 부호는 문장의 구조를 드러내거나 글.. 우리말을 배우자/문장 부호 해설 2019.12.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