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어말 어미 3

어미의 종류(2)

이번 호에서는 어미(語尾)의 종류에 대해 알아보기로 한다. 어미의 종류는 오래전에 다룬 바 있는데, 그때에는 거시적으로 어말 어미, 선어말 어미, 비종결 어미, 종결 어미, 연결 어미, 전성 어미, 그리고 전성 어미의 종류들에 대해 알아보았다. 이번 호에서는 먼저 이어진 문장과 관련한 어미의 종류 관련 용어를 간략히 살펴본 후, 어미들의 특성까지 살펴보도록 한다. 이 연재의 목적인 용어 소개에 그치지 않고 어미의 특성까지 설명하려는 것은 문법 용어와 실제 대상이 일대일로 대응되지 않는 경우가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하다는 사실을 강조하기 위함이다. (1)은 ‘-고’로 연결된 대등하게 이어진 문장이다. 이처럼 대등하게 이어진 문장을 만드는 연결 어미를 ‘대등적 연결 어미’라고 한다. 대등적 연결 어미에는 ‘-..

어미의 종류(1)

이번 호에서는 조사와 함께 우리말의 대표적인 문법 형태소라고 할 수 있는 어미(語尾)의 종류에 대해 알아보기로 한다. 먼저 아래 예문을 보자. (1)에서 동사 ‘먹-’의 활용 어미를 떼어 낸 것이 (2)에 보인 ‘-았/었-, -지만, -다’이다. 이 3개를 두 종류로 나누면 어떻게 나눌 수 있을까? 형태를 보면 ‘-았/었-’과 ‘-지만, -다’로 나눌 수 있을 것이다. ‘-었-’은 앞뒤에 다른 말이 오지만, ‘-지만’과 ‘-다’는 앞에만 다른 말이 올 수 있기 때문이다. 가령 (1)의 ‘불었다’에서 ‘-었-’ 앞에는 ‘불-’이 있고 뒤에는 ‘-다’가 있지만, ‘-다’ 뒤에는 아무것도 없고 앞에만 ‘-었-’이 있다. 즉 ‘-지만’과 ‘-다’는 단어의 맨 마지막에 오는 어미이고, ‘-았/었-’은 그 앞에 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