쉬운 우리말 42

(얼레빗 제4995) ‘문학’ 대신 ‘말꽃’이란 말을 쓰면 어떨까?

엉클어진 우리말에 눈을 떠, 죽어가는 우리말을 살려내고, 어려운 한자말을 쉬운 우리말로 다듬고, 우리말을 우리말로 풀이한 《푸른 배달말집》을 써온 한실 선생은 요즈음 《우리말 사랑》이라는 책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한실 선생은 “한자를 쓰지 않고 한글을 쓰니까 한글로 쓴 한자말도 다 우리말이라고 잘못 생각하는 사람들이 참 많다. 그도 그럴 것이 배곳(학교)에서 가르침이(교사)가 한글왜말을 가르치고 나라에서도 한글왜말을 쓰고 책이란 책에는 다 한글왜말이 쓰여 있으니 누가 한글왜말을 우리말이 아니라고 여기겠는가?”라고 말합니다. 또 한실 선생은 “우리글로 쓴 낱말이더라도 우리말이 아닌 한자 낱말이 지나치게 많다.  한자는 생겨날 때부터 글자마다 통째로 한 그림이어서 한 글자로 뜻을 다 나타낸다. 오늘날 우리가..

'우리말 사랑꾼' 한의사가 들려주는 우리말의 힘

“단지 우리의 말과 글이어서 한글을 아끼고 사랑하자고 주장하는 게 아닙니다. (쉬운) 우리 말과 글을 쓰는 게 의사소통을 잘 하는 데도 도움이 되고 경제성과 효율성이 굉장히 높아요.” 한글문화연대가 올해 ‘우리말 사랑꾼’으로 선정한 박계윤(53) 장흥한의원 원장은 최근 세계일보와 통화에서 한글을 왜 소중히 여기고 잘 써야 하는지를 이렇게 설명했다. 박 원장은 한의학 교과서, 약재 이름표, 환자 진료서 등에 한자로 된 어려운 한의학 용어를 쉬운 우리말로 바꿔 환자 등 누구나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한 점을 높이 평가받았다. (중략) ‘우리말 사랑꾼’ 한의사의 바람은 뭘까. 박 원장은 “(불특정 다수의) 국민을 대상으로 한 행정·법률용어와 공공기관의 각종 문서와 정책 자료, 언론보도 등 최소한 공공언어 차원..

시민을 위한 것이라고? ‘외국어·외래어 남발’ 정책 용어

10월은 한글날(9일)이 있는 의미 있는 달, 언제나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우리만의 글자가 생긴 달이다. 그런데 주변을 둘러보면 한글보다는 로마자와 같은 외국 글자가 많다. 심지어는 공공기관에서 사용하는 언어까지도. 이 중에 시민들이 검색 없이 한 번에 이해할 수 있는 용어는 얼마나 될까. ‘비치코밍’은 해변(beach)을 빗질(combing)하듯이 조개껍데기, 유리 조각 따위의 표류물이나 쓰레기를 주워 모으는 것을 뜻한다. ‘BRT’는 도심과 외곽을 잇는 주요한 간선도로에 버스전용차로를 설치하여 급행버스를 운행하게 하는 대중교통시스템을 말한다. 요금정보시스템과 승강장·환승정거장·환승터미널·정보체계 등 지하철도의 시스템을 버스운행에 적용한 것으로 ‘bus rapid transit'을 줄여서 ‘BRT’..

한글문화연대 '우리말 사랑꾼'에 손연호 경동나비엔 대표 등

한글문화연대는 우리말을 올바르고 쉽게 사용한 올해 '우리말 사랑꾼'에 손연호 경동나비엔 대표이사, 박계윤 장흥한의원 원장, 진관우 숨탄것들 대표를 각각 선정했다고 6일 밝혔다. 손연호 대표는 지난해 1월 재단법인 한글누리를 설립한 공로를 인정받았다. 한글누리는 훈민정음의 창제 원리와 우수성을 널리 알리기 위한 연구를 하고 국어학·언어학 연구자들과 한글 관련 단체를 지원하고 있다. (중략) 반면, '우리말 해침꾼'에는 유정복 인천시장이 뽑혔다. 한글문화연대 측은 최근 인천 송도국제도시를 영어통용도시로 조성하려는 사업이 추진되는 점을 거론하며 "우리말과 한글을 해칠 뿐 아니라 행정력과 사회 비용을 낭비하는 정책"이라고 비판했다. 출처: https://www.yna.co.kr/view/AKR2023100604..

(얼레빗 제4864호) ‘원산대호’라고 외쳐야 알아듣는 사람 없다

“옛날 어느 마을에 문자 쓰기를 몹시 좋아하는 선비가 살았다. 어느 날 처가에 가서 자는데 밤중에 범이 와서 장인을 물어 갔다. 집안에 사람이라고는 장모와 내외뿐인 터라, 어쩔 수 없이 선비가 지붕에 올라가 소리쳐 마을 사람을 불러 모았다. ‘원산대호가 근산 래하야 오지장인을 칙거 남산 식하니 지총지자는 지총 래하고 지창지자는 지창 래하소! 속래 속래요!’ 이렇게 고함을 질렀다. 뜻인즉 이렇지만 알아들을 사람이 아무도 없으니 누가 총이며 창을 들고 뛰어나올 것인가?“ 윗글은 대구가톨릭대학교 총장과 우리말대학원장을 지낸 고 김수업 선생의 《우리말 사랑 이야기 “말꽃타령”》에 나오는 글입니다. 글깨나 배웠다고 어려운 한자말로 소리쳤는데, 아무도 뛰어오는 사람이 없는 건 당연하지요. 오늘은 세종대왕이 훈민정음..

우리가 우리말 용어를 쓰지 않는 이유

우리의 일상 대화를 살펴보면 외래어가 많이 숨어 있다. 이를 이용해 예능 프로그램에서는 외래어나 외국어를 사용하면 벌칙을 받는 우리말 게임을 하기도 한다. 외래어는 의류와 화장품 마케팅 분야에서 특히 많이 사용된다. 의류 분야의 예로 ‘스트릿 패션(Street Fashion)’이 있다. 스트릿 패션을 번역해보면 길거리 패션이다. 즉, 격식을 차리지 않은 편한 차림을 말한다. 화장품 분야를 살펴보면 우리말을 찾아보기 힘든 상황이다. 화장품 누리집에 들어가면 한글이 아닌 영문으로만 표기된 곳도 많다. 화장품 종류는 ‘틴트, 파운데이션, 팩트’ 등으로 모두 외래어이며 마땅한 우리말도 떠오르지 않는다. ‘틴트’의 색상으로는 ‘슬리피 코야’, ‘피치 알제이’, ‘밀크티 슈키’ 등 다양하다. 이 색상들을 우리말로 ..

‘머그샷’은 ‘머그(컵,잔)’와 연관 있을까?

이처럼 요즘 언론 보도에 ‘머그 샷(mug shot)’이란 말이 자주 등장한다. 특히 국내에서 최근 강력 범죄가 잇따르면서 해당 범죄자와 범죄 혐의자(피의자)의 신상을 공개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는 와중에 머그 샷 제도를 적극 도입해야 한다는 여론에 무게가 실리고 있다. 이런 기류와 별개로 머그 샷이란 용어를 낯설어하는 사람이 상당하다. 일상에서 많이 듣고 사용하는 ‘머그 컵’이나 ‘머그 잔’이란 말과 달리 머그 샷은 우리나라에 없는 제도라 익숙하지 않기 때문이다. (중략) 따라서 머그 샷은 우리말로 ‘범죄자나 피의자 (식별) 사진’이라고 하면 많은 사람이 쉽게 이해할 수 있다. 한글문화연대에 따르면 2020년 ‘머그 샷’에 대한 국민 평균 이해도는 36%, 70세 이상은 12%에 그쳤다. 한편, 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