승무 3

(얼레빗 제4951호) 7인의 춤꾼이 마음속에 기쁨을 사른 승무

지난 5월 26일 서울남산국악당에서는 이애주한국전통춤회의 ‘법열곡(法悅曲)’ 공연이 열렸습니다. 특히 이날 본 승무는 그동안 많은 무대에서 보아온 모든 승무를 잊게 만든 거대한 춤이었지요. 승무가 느린 염불부터 빠른 당악까지 다양한 장단에 추는 춤과 북놀음까지 담고 있는 전통춤 중의 기본이자 법무이기 때문만은 아니었습니다. 또한 한성준에서 한영숙으로, 한영숙에서 이애주로, 이애주에서 그의 제자들로 이어진 전 과장 춤사위를 모두 담은 완판 승무였기 때문만도 아니었습니다. 이날 승무는 삶의 온갖 몸짓이 함축적으로 표현된 춤일 뿐만이 아니라 하늘과 땅과 그 사이 인간이 추는 춤은 삼재(하늘ㆍ땅ㆍ사람) 사상의 토대 위에 과거ㆍ현재ㆍ미래의 삼세를 연결하는 힘이 있어 춤 자체가 단순히 어떤 행위를 표현하기 위한 몸..

절제미와 정중동이 아름다운 우리 춤

국악에는 궁중과 양반이 즐기던 정악(正樂)과 백성이 즐기던 민속악(民俗樂)이 있지요. 다시 말하면 양반은 절제된 음악(정악)을 몸과 마음을 닦는 수단으로 썼고, 백성은 민속악을 삶의 한(恨)을 풀어내는 도구로 즐겼습니다. 그런데 이러한 구분법은 바로 전통춤에도 적용됩니다. 궁중무용과 민속무용이지요. 말 그대로 궁중무용은 궁궐에서 추던 춤이고, 민속무용은 궁궐이 아닌 민가에서 즐긴 것입니다. 예를 들면 검무, 처용무, 포구락, 수연장, 봉래의, 학무 같은 것은 궁중무용이고, 민속무용에는 승무, 살풀이, 한량무, 강강술래, 탈춤 따위가 있습니다. 그런데 실제로는 민속무용이라 하더라도 탈춤 같은 몇 가지를 빼면 대부분 춤이 궁중무용의 성격을 지니고 있습니다. 특히 나라의 평안과 태평성대를 기리는 뜻을 담은 엄..

춤추듯 멈추고 멈춘 듯 춤추는 우리 겨레의 춤

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다른 얼레빗 모두 보기 단기 4349(2016). 1. 28. 지난해 12월 27일 서울 삼성동 한국문화의집(코우스)에서는 화성 재인청 도대방을 지낸 이동안 선생의 수제자로 알려진 이승희 선생 공연이 있었습니다. 이때 이 공연을 본 관객들은 상당한 충격을 받은 모습이었지요. 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