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마리 5

김수업의 우리말은 서럽다 46, 우리 토박이말의 속뜻 - ‘옳은말’과 ‘그른말’

‘옳은말’과 ‘그른말’은 국어사전에 오르지 못했다. 낱말로 보지 않는다는 뜻이다. 그러나 ‘참말’과 ‘거짓말’이 국어사전에 오른 낱말인 것처럼, ‘옳은말’과 ‘그른말’도 국어사전에 올라야 마땅한 낱말이다. 우리 겨레가 이들 두 낱말을 두루 쓰며 살아왔기 때문이다. ‘옳은말’과 ‘그른말’은 서로 맞서, ‘옳은말’은 ‘그른말’이 아니고 ‘그른말’은 ‘옳은말’이 아니다. ‘옳은말’과 ‘그른말’이 가려지는 잣대는 무엇인가? 그것은 바로 ‘있어야 하는 것(이치, 당위)’이다. 있어야 하는 것과 맞으면 ‘옳은말’이고, 있어야 하는 것과 어긋나면 ‘그른말’이다. ‘있어야 하는 것’이란 실타래처럼 얽히고설켜 돌아가는 세상살이에 길을 밝혀 주는 잣대다. ▲ 세상엔 '옳은말' '그른말'이 뒤섞이지만 마침내 '옳은말'이 홀..

작가의 공책

작가의 공책 공책을 바꿨다. 소설가로서 내가 누리는 거의 유일한 사치는 다음 작품에 어울리는 색과 꼴을 갖춘 공책을 갖는 것이다. 몽상과 답사와 인터뷰와 조사한 자료와 읽은 논저와 쌓은 경험으로 공책을 채워야 한다. 장편의 첫 문장을 언제 쓸지는 아직 모르겠지만, 더 대담하게 더 섬세하게 더 느리게 더 더 더 머뭇거려야 한다. 공책은 주저흔이다. 한 뼘이라도 자기 문장으로 나아가는 자가 소설가다. - 김탁환의《섬진강 일기》중에서 - * 학생도 공책을 보면 그의 학업 태도를 짐작할 수 있습니다. 공책이 빼곡한 학생일수록 성적이 좋습니다. 작가의 공책도 비슷합니다. 방대한 독서량, 순간순간 머뭇거린 생각의 흔적, 지나치기 쉬운 경험의 파편들이 공책에 빼곡히 쌓였다가 시(詩)로 소설로 탈바꿈해 태어납니다. 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