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바람 3

(얼레빗 제4834호) 내일은 ‘소서’, 이웃에게 솔개그늘이 되자

내일은 24절기의 열한째로 하지와 대서 사이에 든 ‘소서(小暑)’입니다. 하지 무렵까지 모내기를 끝낸 벼는 소서 때쯤이면 김매기가 한창이지요. 요즈음은 농약을 쳐서 농사를 짓기 때문에 예전처럼 논의 피를 뽑는 일인 피사리나 김매기 하는 모습은 보기 어렵지만 여전히 예전 방식대로 농사를 짓는 농부들은 허리가 휘고 땀범벅으로 온몸이 파김치가 되는 때입니다. ▲ 소서 무렵, 예전 농부들은 피사리와 김매기로 허리 펼 틈이 없었다.(그림 이무성 작가) 이때 솔개그늘은 농부들에게 참 고마운 존재이지요. ‘솔개그늘’이란 날아가는 솔개가 드리운 그늘만큼 작은 그늘을 말합니다. 뙤약볕에서 논바닥을 헤매며 김을 매는 농부들에겐 비록 작은 솔개그늘이지만 여간 고마운 게 아닙니다. 거기에 실바람 한 오라기만 지나가도 볼에 흐..

대자리에서 방구부채를 부치다 – 기대승, 「하경」

대자리에서 방구부채를 부치다 – 기대승, 「하경」 대 평상에 자리 깔고 편한 대로 누웠더니 蒲席筠床隨意臥 쳐놓은 발 사이로 실바람이 솔솔 불어 虛鈴疎箔度微風 방구부채 살살 흔드니 바람 더욱 시원해 團圓更有生凉手 푹푹 찌는 더위도 오늘 밤엔 사라지네 頓覺炎蒸一夜空 고봉(高峰) 기대승(奇大升)의 「하경(夏景, 여름날 정경)」입니다. 옛 선비들의 여름나기를 잘 보여주고 있습니다. 지금이야 에어컨 바람과 함께, 또는 바닷가 모래사장에서 여름나기를 하지만 고봉은 그저 평상에 왕골대자리를 깔고 방구부채를 부칠 뿐입니다. 기대승은 어려서부터 독학하여 고전에 능통했습니다. 나이가 26세나 위인 퇴계 이황과 ‘사단칠정(四端七情)’을 주제로 8년 동안이나 편지를 주고받았는데, 후세 유학자들 가운데 이를 말하지 않은 이가 ..

(얼레빗 4414호) 우리말 이름 ‘싹쓸바람’과 ‘실바람’

어제, 오늘은 태풍 바비의 영향으로 온 나라가 초비상이었습니다. “바비가 몰고 온 싹쓸바람 전국 초비상”, “싹쓸바람 몰고 '바비' 북상, 내일 영향권”, “초속 45m '싹쓸바람' 이끌고 오는 태풍 바비” 등의 뉴스가 눈에 띄었지요. 여기서 ‘싹쓸바람’이란 지상 10m 높이의 풍속이 초속 32.7m 이상으로 육지의 모든 것을 쓸어갈 만큼 피해가 아주 격심한 것을 이릅니다. ▲ 싹쓸바람으로 나무가 부러지고 넘어졌다.(KBS뉴스 갈무리) 그런데 이 바람은 국제적으로 통용되는 바람의 세기(보퍼트 13 등급)가 있습니다. 기상청은 이 등급에 맞춰 우리말 이름을 붙여 놓았습니다. 연기가 똑바로 올라가 바람이 거의 없는 상태(풍속 초당 0~0.2m)는 '고요', 풍향계에는 기록되지 않지만, 연기가 날리는 모양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