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부 표준 발음법 제5장 음의 동화 제20항 이 조항은 유음화 현상에 대해 규정한 것이다. ‘ㄹ’과 ‘ㄴ’이 인접하면 ‘ㄴ’이 ‘ㄹ’에 동화되어 ‘ㄹ’로 바뀌게 된다. 이 현상이 동화에 속한다는 점은 의심의 여지가 없다. 이 현상은 ‘ㄴ’이 ‘ㄹ’에 앞서는 경우와 ‘ㄴ’이 ‘ㄹ’ 뒤에 오는 경우로 나눌 수 있다. (1)은 ‘.. 우리말을 배우자/표준어규정 해설 2019.11.08
제4장 형태에 관한 것 제4절 합성어 및 접두사가 붙은 말 제36항 ‘ㅣ’로 끝나는 어간에 ‘-어’가 붙어서 ‘ㅕ’로 줄어드는 경우 준 대로 적는다. 녹이어→녹여 먹이어서→먹여서 숙이었다→숙였다 업히어→업혀 입히어서→입혀서 잡히었다→잡혔다 굶기어→굶겨 남기어야→남겨야 옮기었다→옮겼다 굴리어→굴려 날리어야→날려야 돌리었다→.. 우리말을 배우자/한글맞춤법 해설 2019.08.04
제4장 형태에 관한 것 제3절 접미사가 붙어서 된 말 제21항 (2) <더 알아보기> • ‘넓다, ’넙죽‘, ’납작‘ 등의 표기 ‘넓다’의 어간 ‘넓-’에 자음으로 시작하는 접미사가 결합한 경우, 본뜻이 유지되면서 겹받침 끝소리인 ‘ㅂ’이 소리 나는 경우에는 원형을 밝혀 적는다. 본뜻이 유지되더라도 앞의 ‘ㄹ’이 소리 날 때에는 소리 나는 대.. 우리말을 배우자/한글맞춤법 해설 2019.07.13
제4장 형태에 관한 것 제3절 접미사가 붙어서 된 말 제21항 (1) 명사와 용언 어간에 자음으로 시작하는 접미사가 결합하여 만들어진 단어는 그 명사나 어간의 원형을 밝혀서 적는다. 예를 들어 ‘값지다’는 명사 ‘값’에 접미사 ‘-지다’가 결합한 말이고 ‘덮개’는 어간 ‘덮-’에 접미사 ‘-개’가 결합하여 만들어진 말이다. 이들은 명사와 어.. 우리말을 배우자/한글맞춤법 해설 2019.07.12
제3장 소리에 관한 것 제1절 된소리 제5항 제5항 한 단어 안에서 뚜렷한 까닭 없이 나는 된소리는 다음 음절의 첫소리를 된소리로 적는다. 1. 두 모음 사이에서 나는 된소리 소쩍새 어깨 오빠 으뜸 아끼다 기쁘다 깨끗하다 어떠하다 해쓱하다 가끔 거꾸로 부썩 어찌 이따금 2. ‘ㄴ, ㄹ, ㅁ, ㅇ’ 받침 뒤에서 나는 된소리 산뜻하다 .. 우리말을 배우자/한글맞춤법 해설 2019.06.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