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부 표준어 사정 원칙 제1장 총칙 제2항 세계 각국과의 교류가 활발해짐에 따라 물밀 듯이 쏟아져 들어오는 외국의 말은 지속적으로 조사하여 국어의 일부로 수용할 것인가의 여부를 결정해 주어야 할 뿐 아니라, 그 표기 역시 결정해 주어야 한다. 이 조항은 외국의 말이 국어의 일부인 외래어로 인정될 수 있는 것인지를 결정.. 우리말을 배우자/표준어규정 해설 2019.09.09
제4장 형태에 관한 것 제4절 합성어 및 접두사가 붙은 말 제30항 (2) 셋째, 이 두 가지 요건과 더불어 합성어를 이루는 구성 요소 중에서 적어도 하나는 고유어이어야 하고 구성 요소 중에 외래어도 없어야 한다는 조건이 덧붙는다. 예를 들어 ‘개수(個數)’, ‘초점(焦點)’, ‘기차간(汽車間)’, ‘전세방(傳貰房)’은 ‘갯수’, ‘촛점’, ‘기찻간’, ‘.. 우리말을 배우자/한글맞춤법 해설 2019.07.28
제3장 소리에 관한 것 제5절 두음 법칙 제12항 '라, 래, 로, 뢰, 루, 르'를 포함하는 한자어 음절이 단어 첫머리에 올 때는 '나, 내, 노, 뇌, 누, 느'를 포함하는 형태로 실현된다. 이 조항에서는 이처럼 단어 첫머리에서 두음 법칙이 적용될 때 '나, 내, 노, 뇌, 누, 느'로 적는다고 규정하고 있다. 낙관(樂觀) 내년(來年) 노년(老年) 뇌우(雷雨.. 우리말을 배우자/한글맞춤법 해설 2019.06.24
제3장 소리에 관한 것 제5절 두음 법칙 제11항 (2) [붙임 3] 둘 이상의 단어로 이루어진 말이 줄어들어 하나의 단위로 인식될 때에는 두음 법칙이 적용되지 않아서 소리 나는 대로 적는다. 이 경우 뒤의 한자는 하나의 단어가 아니기 때문에 두음 법칙이 적용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국제 연합'은 '국련'으로 줄여서 쓸 수 있다. '국제'의 '국.. 우리말을 배우자/한글맞춤법 해설 2019.06.23
제3장 소리에 관한 것 제5절 두음 법칙 제11항 (1) 이 조항에서도 두음 법칙이 적용되는 경우를 규정하고 있다. 한자어 '랴, 려, 례, 료, 류, 리'를 포함하는 음절은 단어 첫머리에 올 때 '야, 여, 예, 요, 유, 이'의 형태로 실현된다. 이 조항에서는 이처럼 단어 첫머리에서 두음 법칙이 적용될 때 '야, 여, 예, 요, 유 이'로 적는다고 규정하였다.. 우리말을 배우자/한글맞춤법 해설 2019.06.22
제1장 총칙 제3항 제3항 외래어는 '외래어 표기법'에 따라 적는다 외래어는 다른 언어에서 들어온 말이므로 원어의 언어적인 특징을 고려해서 적어야 한다. 따라서 '외래어 표기법'을 정하여 그에 따라 적는 것이 원칙이다. 외래어는 고유어, 한자어와 함께 국어의 어휘 체계에 정착한 어휘라고 할 수 있다... 우리말을 배우자/한글맞춤법 해설 2019.06.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