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4장 형태에 관한 것 제4절 합성어 및 접두사가 붙은 말 제27항 (2) [붙임 1] 어원이 분명하더라고 이미 소리가 바뀐 경우에는 원형을 밝혀 적지 않는다. '할아버지, 할아범'은 '한아버지, 한아범'에서 온 말이지만 [하라버지]와 [하라범]으로 발음이 바뀌었으므로 바뀐 대로 적는다. [붙임 2] 어원을 명확하게 확인할 수 없는 경우에도 원형을 밝혀 적지 않는.. 우리말을 배우자/한글맞춤법 해설 2019.07.24
제4장 형태에 관한 것 제4절 합성어 및 접두사가 붙은 말 제27항 (1) 이 조항에서는 합성어와 파생어를 구성하는 요소들의 원형을 밝혀 적을 것을 규정하고 있다. 첫째, 둘 이상의 단어가 결합하여 합성어를 이룰 때에는 단어의 원형을 밝혀 적는다. 예를 들어 ‘꽃’과 ‘잎’이 합성어를 이룰 때 [꼰닙]으로 소리가 나지만 단어의 원형을 밝혀 ‘꽃잎’으.. 우리말을 배우자/한글맞춤법 해설 2019.07.22
제4장 형태에 관한 것 제3절 접미사가 붙어서 된 말 제24항 국어에서 ‘-거리다’가 붙는 어근에는 ‘-이다’가 붙을 수 있는 경우가 많다. 예를 들어 의태어 어근 ‘반짝’은 ‘반짝하다’, ‘반짝거리다’, ‘반짝대다’, ‘반짝이다’, ‘반짝반짝하다’와 같은 단어를 형성한다. 이런 경우는 어근의 본뜻이 유지되고 있고 어근이 다양한 접사.. 우리말을 배우자/한글맞춤법 해설 2019.07.18
제4장 형태에 관한 것 제3절 접미사가 붙어서 된 말 제23항 (1) 어근은 단어를 형성할 때 실질적인 의미를 나타내는 부분이다. ‘-하다’나 ‘-거리다’가 붙는 어근은 ‘-이’와 결합하여 명사를 형성하는 경우 본뜻이 그대로 유지된다. 예를 들어 ‘홀쭉하다’의 어근 ‘홀쭉’에서 ‘홀쭉이’가 형성되더라도 ‘홀쭉’의 의미는 달라지지 않는다. .. 우리말을 배우자/한글맞춤법 해설 2019.07.16
제4장 형태에 관한 것 제3절 접미사가 붙어서 된 말 제22항 (2) 2. ‘-치-’, ‘-뜨리-/-트리-’처럼 자음으로 시작하는 접미사가 결합하는 경우에는 어간 형태소의 원형을 밝혀서 적는다고 한글 맞춤법 제21항에서 규정한 바 있다. ‘-뜨리-/-트리-’는 의미가 동일한 복수 표준어로, 둘 다 다양한 어간에 결합하여 널리 쓰인다는 특성이 있다.(표준어 규.. 우리말을 배우자/한글맞춤법 해설 2019.07.15
제4장 형태에 관한 것 제3절 접미사가 붙어서 된 말 제22항 (1) 1. 국어에서 어간에 접미사가 규칙적으로 결합하여 새로운 단어를 형성할 때, 형성된 단어의 의미는 어간과 접미사의 의미가 합해진 결과물인 경우가 적지 않다. 예를 들어 ‘먹다’에 사동을 나타내는 접미사 ‘-이-’가 결합하여 사동사를 만들 때 사동사의 의미는 어간의 의미와 접미.. 우리말을 배우자/한글맞춤법 해설 2019.07.14
제4장 형태에 관한 것 제3절 접미사가 붙어서 된 말 제21항 (2) <더 알아보기> • ‘넓다, ’넙죽‘, ’납작‘ 등의 표기 ‘넓다’의 어간 ‘넓-’에 자음으로 시작하는 접미사가 결합한 경우, 본뜻이 유지되면서 겹받침 끝소리인 ‘ㅂ’이 소리 나는 경우에는 원형을 밝혀 적는다. 본뜻이 유지되더라도 앞의 ‘ㄹ’이 소리 날 때에는 소리 나는 대.. 우리말을 배우자/한글맞춤법 해설 2019.07.13
제4장 형태에 관한 것 제3절 접미사가 붙어서 된 말 제21항 (1) 명사와 용언 어간에 자음으로 시작하는 접미사가 결합하여 만들어진 단어는 그 명사나 어간의 원형을 밝혀서 적는다. 예를 들어 ‘값지다’는 명사 ‘값’에 접미사 ‘-지다’가 결합한 말이고 ‘덮개’는 어간 ‘덮-’에 접미사 ‘-개’가 결합하여 만들어진 말이다. 이들은 명사와 어.. 우리말을 배우자/한글맞춤법 해설 2019.07.12
제4장 형태에 관한 것 제3절 접미사가 붙어서 된 말 제20항 (2) [붙임] 그렇지만 명사에 ‘-이’ 이외의 모음으로 된 접미사가 결합한 경우에는 명사의 원형을 밝혀 적지 않는다. 이러한 접미사는 결합하는 어근이 제약되어 있고 더 이상 새로운 말도 만들어 내지 못한다. 고랑(← 골+ -앙) 터럭(← 털+ -억) 끄트러기(← 끝+ -으러기) 모가지(← 목+ -아지) .. 우리말을 배우자/한글맞춤법 해설 2019.07.11
제4장 형태에 관한 것 제3절 접미사가 붙어서 된 말 제20항 (1) 명사에 접미사 ‘-이’가 결합하여 부사나 명사가 되는 경우 명사의 본모양을 밝혀 적는다. ‘-이’가 결합하여 품사나 의미가 바뀌더라도 명사의 원래 의미와 ‘-이’의 의미는 일정하게 유지되기 때문이다. 또한 ‘-이’는 비교적 다양한 명사에 결합할 수 잇기 때문에 명사의 본모양.. 우리말을 배우자/한글맞춤법 해설 2019.07.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