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장 부호 전문 (4) - 5. 가운뎃점, 6. 쌍점 5. 가운뎃점(·) (1) 열거할 어구들을 일정한 기준으로 묶어서 나타낼 때 쓴다. (예) 민수·영희, 선미·준호가 서로 짝이 되어 윷놀이를 하였다. (예) 지금의 경상남도·경상북도, 전라남도·전라북도, 충청남도·충청북도 지역을 예부터 삼남이라 일러 왔다. (2) 짝을 이루는 어구들 사이.. 우리말을 배우자/문장 부호 해설 2020.01.31
제5장 띄어쓰기 제2절 의존명사, 단위를 나타내는 명사 및 열거하는 말 등 제42항 의존 명사는 그 앞에 반드시 꾸며 주는 말이 있어야 쓸 수 있는 의존적인 말이지만, 자립 명사와 같은 명사 기능을 하므로 단어로 취급된다. 따라서 앞말과 띄어 쓴다. 먹을 음식이 없다. / 먹을 것이 없다. 좋은 사람이 많다. / 좋은 이가 많다. 그런데 의존 명사가 조사, 어미의 일부, 접미.. 우리말을 배우자/한글맞춤법 해설 2019.08.11
제3장 소리에 관한 것 제5절 두음 법칙 제11항 (2) [붙임 3] 둘 이상의 단어로 이루어진 말이 줄어들어 하나의 단위로 인식될 때에는 두음 법칙이 적용되지 않아서 소리 나는 대로 적는다. 이 경우 뒤의 한자는 하나의 단어가 아니기 때문에 두음 법칙이 적용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국제 연합'은 '국련'으로 줄여서 쓸 수 있다. '국제'의 '국.. 우리말을 배우자/한글맞춤법 해설 2019.06.23
제3장 소리에 관한 것 제5절 두음 법칙 제11항 (1) 이 조항에서도 두음 법칙이 적용되는 경우를 규정하고 있다. 한자어 '랴, 려, 례, 료, 류, 리'를 포함하는 음절은 단어 첫머리에 올 때 '야, 여, 예, 요, 유, 이'의 형태로 실현된다. 이 조항에서는 이처럼 단어 첫머리에서 두음 법칙이 적용될 때 '야, 여, 예, 요, 유 이'로 적는다고 규정하였다.. 우리말을 배우자/한글맞춤법 해설 2019.06.22
제3장 소리에 관한 것 제5절 두음 법칙 제10항 제10항~제12항에서는 국어의 두음 법칙을 규정하였다. 두음 법칙은 단어의 첫머리에 특정한 소리가 출현하지 못하는 현상을 말한다. '녀, 뇨, 뉴, 니'를 포함하는 한자어 음절이 단어 첫머리에 올 때는 'ㄴ'이 나타나지 못하여 '여, 요, 유, 이'의 형태로 실현되는데, 이 조항에서는 이러한 두.. 우리말을 배우자/한글맞춤법 해설 2019.06.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