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토 히로부미 16

하얼빈 - 김훈

한국인이라면 누구나 아는 사실, 1909년 10월 26일 하얼빈에서 이토 히로부미를 총으로 쏴 죽인 안중근 의사에 관한 소설이다. 이 소설은 안중근이 우덕순과 함께 이토가 하얼빈에 온다는 소식을 접한 후 10월 26일까지의 일정을 축약하여 보여준다. 안중근의 일대기가 아닌 거사 전 며칠과 이후 재판과정과 감옥 생활만을 기록하고 있는 점이 특이하다. 일정상 기간이 촉박한 점은 이해되는데, 그럼에도 우리가 아는 이 엄청난 거사를 위해 준비한 과정을 보면 너무 허술하다는 느낌을 지울 수가 없다. 이토가 온다는 소식에 그를 죽여야 한다는 - 비록 그 전부터 생각해 오기는 했다지만 - 생각을 바로 며칠 만에 실행한 점, 단 한 번의 사전 현장조사만이 진행된 점, 과연 그 두 사람만의 신념으로 거사를 일으킬 수 있..

거리의 똥을 치우라

거리의 똥을 치우라 이토는 덕수궁에서 만난 조선 대신들을 불러 세우고 거리의 똥을 치우라고 말했다. 통감이 똥 문제를 이야기하자 조선 대신들은 얼굴을 돌렸다. -통감 각하의 살피심이 이처럼 세밀하시니 두렵습니다. -분뇨의 문제는 인의예지에 선행하는 것이오. 이것이 조선의 가장 시급한 당면 문제요. 즉각 시정하시오. - 김훈의《하얼빈》중에서 - * 이토 히로부미(伊藤博文). 그가 과연 조선 거리의 똥을 치우라고 명령할 자격이 있을까요? 자신의 내면에 가득 찬 오물부터 치웠어야 옳을 일이었습니다. '똥 묻은 개가 겨 묻은 개를 나무란다'라는 속담이 있습니다. 우리의 아프고 슬픈 역사 속에 이런 일은 종종 생깁니다. '통감 각하의 살피심'에 감읍해 읊조리는 '조선 대신'들의 모습도 우리를 아프고 슬프게 합니다.

똥 냄새에 질겁을 했다

똥 냄새에 질겁을 했다 이토는 서울에 처음 부임했을 때 똥 냄새에 질겁을 했다. 어른과 아이들이 길바닥에서 엉덩이를 까고 앉아 똥을 누었고, 집집에서 아침마다 요강을 길바닥에 쏟았다. 장마 때는 변소가 넘쳐서 똥덩이가 떠다녔다. 똥 냄새는 마을 골목마다 깊이 배어 있었고 남대문 거리, 정동 거리에도 똥 무더기가 널려 있었다. 이토는 통감부와 조선 조정을 거듭 다그쳤으나 거리는 여전히 똥 바다였다. 날마다 새 똥이 거리에 널려 있었다. - 김훈의《하얼빈》중에서 - * 이토 히로부미(伊藤博文). 그는 질겁을 했을지 모르지만 일본도 당시는 큰 차이 없었습니다. 불과 얼마 전까지 중국도 비슷했고, 인도 빈민가는 지금도 질겁할 만한 상황에 있습니다. 격세지감, 한국의 오늘은 전혀 다른 세상으로 바뀌었습니다. 고속..

137년간 일본 역대 총리 101대, 초대는 이토

지난 7월 8일, 아베 신조(安倍晋三, 67세) 전 일본수상이 선거 유세 중에 총을 맞고 쓰러져 죽었다는 뉴스가 일본발로 속보로 전해진 이래 한국에서도 상당시간 ‘총격, 사망, 장례’ 등에 관한 보도가 신문과 텔레비전 뉴스 등을 도배한 적이 있다. 때마침 일본 참의원 선거를 앞두고 자민당 후보의 지원 유세 중에 총격을 받은 사건이라 더욱 세간의 주목을 받았다. 일본의 초대 총리는 1885년(명치18년), 이토 히로부미(伊藤博文)를 시작으로 현재 기시다 후미오(岸田文雄) 총리가 101대 째이며, 지난 7월 사망한 아베신조는 90대, 96, 97, 98대를 역임한 최장수 총리로 일컬어지고 있다. ▲ 기시다 후미오, 아베 신조, 무라야마 도미이치, 데라우치 마사다케, 이토 히로부미 역대총리(시계방향) 일본의 ..

(얼레빗 4525호) 115년 전 일제, 통감부 설치하고 조선 지배

지금으로부터 115년 전인 1906년 2월 1일 일제는 조선을 관리 감독하기 위한 기구인 통감부(統監府)를 설치했습니다. 일본 제국주의는 대한제국 황실의 안녕과 평화를 유지한다는 명분을 내세웠지만, 실제로 통감부는 서울에 설치한 통치기구로써 1910년 조선총독부가 설치될 때까지 통감부는 4년 6개월 동안 한국의 국정 전반을 사실상 장악했지요. 이때 초대 통감으로 이토 히로부미가 취임했으며, 통감정치의 실시로 대한제국은 외교권을 박탈당하고 일제의 실질적인 지배를 받게 되었습니다. ▲ 통감부 청사(출처, 위키백과) 그러나 일제는 통감부 설치 이후에도 대한제국 정부를 그대로 두었는데, 이는 조선에 대한 식민지 지배를 위장하고 조선 사람들의 반일 기세를 무마하는 데 유리하다고 생각했기 때문이었지요. 또한, 일제..

한국은행 본점 머릿돌은 이토 히로부미 친필?

한국은행 본점 화폐박물관(옛 조선은행 본점)에 있는 머릿돌(정초석)이 일본 초대 총리인 이토 히로부미(1849∼1909)의 친필임을 입증하는 사료가 나타났다. 전용기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12일 국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 문화재청 국정감사에서 조선은행이 1918년 발간한 '조선과 만주의 경제 개요'(Economic outlines of Chosen and Manchuria)란 간행물 사본을 입증 자료로 제시했다. 전 의원은 이날 "현재 미국 버클리 캘리포니아대학(UC 버클리) 도서관이 소장 중인 이 책 6쪽에는 '이 건물의 정초석은 이토 공작의 친필로 만들어졌다'는 설명이 담겨 있다"고 밝혔다. 그간 이 정초석 글씨를 쓴 사람은 이토로 추정돼 왔으나 '定礎'(정초) 글씨 왼편의 작성자 부분이 지워져 있어 확신..

(얼레빗 4304호) 1910년 오늘, 안중근 의사 순국하다

“내가 한국독립을 회복하고 동양평화를 유지하기 위하여 3년 동안을 해외에서 풍찬노숙하다가 마침내 그 목적을 달성하지 못하고 이곳에서 죽노니, 우리 2천만 형제자매는 각각 스스로 분발하여 학문을 힘쓰고 실업을 진흥하며, 나의 끼친 뜻을 이어 자유 독립을 회복하면 죽는 여한이 ..

(얼레빗 4042호) 오늘 한국의용병 참모중장 안중근 순국한 날

한국문화편지 4042호 (2019년 03월 26일 발행) 오늘 한국의용병 참모중장 안중근 순국한 날 [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4042][우리문화신문=김영조 기자] 109년 전인 1910년 오늘(3월 26일)은 한국 침략의 원흉이며 동양평화의 파괴자인 이토 히로부미를 처단한 안중근 의사가 여순감옥에서 순국한 날..

(얼레빗 4023호) 을사늑약 논의한 태화관서 3.1독립선언

한국문화편지 4023호 (2019년 02월 27일 발행) 을사늑약 논의한 태화관서 3.1독립선언 [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4023][우리문화신문=김영조 기자] 내일은 3.1만세운동 100돌이 되는 날입니다. 1919년 3월 1일 낮 2시 민족대표들은 조선음식점 태화관에 모여 독립선언을 했습니다. 그런데 독립선언을 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