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글 상식] 기역 디귿 시옷의 이름을 바꿔라 https://youtu.be/4Xvh3qskn18 2020년 8월 16일 정재환의 한글 상식 우리말을 배우자/한글문화연대 2022.06.09
[한글 상식] '있습니다', '있읍니다', '있슴', '있음' https://youtu.be/VLTgiMQhOBk 2020년 9월 17일 정재환의 한글 상식 우리말을 배우자/한글문화연대 2022.03.26
국어의 로마자 표기법, 제3장 표기상의 유의점 제1항 제1항 음운 변화가 일어날 때에는 변화의 결과에 따라 다음 각호와 같이 적는다. 1. 자음 사이에서 동화 작용이 일어나는 경우 (보기) 백마[뱅마] Baengma 신문로[신문노] Sinmunno 종로[종노] Jongno 왕십리[왕심니] Wangsimni 별내[별래] Byeollae 신라[실라] Silla 2. ‘ㄴ, ㄹ’이 덧나는 경우 (보기) 학.. 우리말을 배우자/국어의로마자표기법 2019.11.25
국어의 로마자 표기법, 제2장 표기 일람 제1-2항 제1항 모음은 다음 각 호와 같이 적는다. 1. 단모음 ㅏ ㅓ ㅗ ㅜ ㅡ ㅣ ㅐ ㅔ ㅚ ㅟ a eo o u eu i ae e oe wi 2. 이중 모음 ㅑ ㅕ ㅛ ㅠ ㅒ ㅖ ㅘ ㅙ ㅝ ㅞ ㅢ ya yeo yo yu yae ye wa wae wo we ui [붙임 1] ‘ㅢ’는 ‘ㅣ’로 소리 나더라도 ui로 적는다. (보기) 광희문 Gwanghuimun [붙임 2] 장모음의 표기는 따로 하.. 우리말을 배우자/국어의로마자표기법 2019.11.24
제2장 발음 변화에 따른 표준어 규정 제1절 자음 제6항 0sGJF제2장 발음 변화에 따른 표준어 규정 제1절 자음 제5항 B0401 이 조항은 그동안 용법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규정해 온 것 중 현재에는 그 구별의 의의가 거의 사라진 항목들을 정리한 것이다. ① 과거에 ‘돌’은 생일, ‘돐’은 ‘한글 반포 500돐’처럼 ‘주년’의 의미로 세분해 써 왔.. 우리말을 배우자/표준어규정 해설 2019.09.13
제2장 발음 변화에 따른 표준어 규정 제1절 자음 제5항 학문적으로는 어원이 밝혀져 있더라도 언중의 어원 의식이 약해져서 어원으로부터 멀어진 형태가 널리 쓰이면 그 말을 표준어로 삼고, 어원에 충실한 형태이더라도 현실적으로 쓰이지 않는 말은 표준어로 삼지 않겠다는 것을 다룬 조항이다. ① ‘강낭콩’은 중국의 ‘강남(江南)’ 지.. 우리말을 배우자/표준어규정 해설 2019.09.12
제2장 발음 변화에 따른 표준어 규정 제1절 자음 제4항 제3항과 같은 취지로 규정한 말들이나, 제3항의 경우와는 달리 거센소리가 예사소리로 변화한 말들을 표준어로 삼은 경우이다. ① 표준어 규정이 공표된 1988년보다 이미 오래전부터 이름이 얼른 생각나지 않거나 바로 말하기 곤란한 사람 또는 사물을 가리키는 대명사로 ‘거시키’보다.. 우리말을 배우자/표준어규정 해설 2019.09.11
제4장 형태에 관한 것 제3절 접미사가 붙어서 된 말 제21항 (2) <더 알아보기> • ‘넓다, ’넙죽‘, ’납작‘ 등의 표기 ‘넓다’의 어간 ‘넓-’에 자음으로 시작하는 접미사가 결합한 경우, 본뜻이 유지되면서 겹받침 끝소리인 ‘ㅂ’이 소리 나는 경우에는 원형을 밝혀 적는다. 본뜻이 유지되더라도 앞의 ‘ㄹ’이 소리 날 때에는 소리 나는 대.. 우리말을 배우자/한글맞춤법 해설 2019.07.13
제4장 형태에 관한 것 제3절 접미사가 붙어서 된 말 제21항 (1) 명사와 용언 어간에 자음으로 시작하는 접미사가 결합하여 만들어진 단어는 그 명사나 어간의 원형을 밝혀서 적는다. 예를 들어 ‘값지다’는 명사 ‘값’에 접미사 ‘-지다’가 결합한 말이고 ‘덮개’는 어간 ‘덮-’에 접미사 ‘-개’가 결합하여 만들어진 말이다. 이들은 명사와 어.. 우리말을 배우자/한글맞춤법 해설 2019.07.12
제3장 소리에 관한 것 제4절 모음 제9항 표준 발음법 제5항에서는 'ㅢ'의 발음을 다음과 같이 규정하고 있다. ① 자음을 첫소리로 가지고 있는 음절의 'ㅢ'는 [ㅣ]로 발음한다. 늴리리[닐리리] 씌어[씨어] 유희[유히] ② 단어의 첫음절 이외의 '의'는 [이]로, 조사 '의'는 [에]로 발음할 수 있다. 주의[주의/주이] 우리의[우리의/우리에.. 우리말을 배우자/한글맞춤법 해설 2019.06.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