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부 표준 발음법 제2장 자음과 모음 제5항 (1) 이 조항은 국어 이중 모음의 수를 규정하고 있다. 여기에 따르면 국어에는 총 11개의 이중 모음이 있다. 이러한 이중 모음은 그 구성 요소 중 하나인 반모음의 종류 및 위치에 따라 다음과 같이 분류할 수 있다. ‘ㅑ, ㅒ, ㅕ, ㅖ, ㅛ, ㅠ’는 각각 반모음 ‘ㅣ[j]’와 단모음 ‘ㅏ, ㅐ, ㅓ, ㅔ,.. 우리말을 배우자/표준어규정 해설 2019.10.18
제2부 표준 발음법 제2장 자음과 모음 제4항 이 조항은 국어 단모음의 수를 규정하고 있다. 국어 표준 발음으로는 10개의 단모음을 인정하고 있다. 그런데 자음과 달리 단모음의 개수는 지역이나 세대에 따라 상당한 차이가 있다. 가령 방언에 따라 단모음의 수가 6개에서 10개까지 다양하며 같은 지역이라도 세대에 따라 차이가 나기.. 우리말을 배우자/표준어규정 해설 2019.10.17
제2부 표준 발음법 제2장 자음과 모음 제3항 이 조항은 국어 모음의 수를 규정하고 있다. 국어에는 총 21개의 모음이 있다. 이러한 모음은 크게 단모음(單母音)과 이중 모음으로 구분할 수 있다. 단모음은 발음할 때 입의 모양이나 혀의 위치가 일정하게 유지되는 모음이다. 반면 이중 모음은 발음할 때 입의 모양이나 혀의 위치가 바.. 우리말을 배우자/표준어규정 해설 2019.10.15
제2부 표준 발음법 제2장 자음과 모음 제2항 이 조항은 국어 자음의 수를 규정하고 있다. 국어에는 19개의 자음이 있으며 이러한 자음의 개수는 방언에 따른 차이가 거의 없다. 일부 지역에 ‘ㅆ’이 없는 경우를 제외하면 대체로 동일한 모습을 보인다. 국어의 자음들을 발음되는 위치와 방법에 따라 구분하면 다음과 같다. 국어의 .. 우리말을 배우자/표준어규정 해설 2019.10.14
제2장 발음 변화에 따른 표준어 규정 제1절 자음 제3항 제2장 발음변화에 따른 표준어 규정 시간의 흐름에 따라 어떤 어휘는 자음과 모음의 발음이 달라지고 길이가 줄어드는 등의 변화를 입게 된다. 어문 규범을 자주 바꾸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으므로 발음에 다소의 변화를 입어도 표준어를 곧바로 바꾸지는 않지만, 발음 변화의 정도가 심.. 우리말을 배우자/표준어규정 해설 2019.09.10
10월 9일 - 위대한 글자 한글 하나, 한글날 잔치를 열던 어느 외국인 세계 언어학자들은 이구동성으로 한글을 최고의 글자라고 말합니다. 얼마 전 세상을 떠난 미국의 언어학자 제임스 매콜리(별명 막걸리) 교수는 한글날만 되면 언어학자로서 최고의 글자를 기리는 것은 당연한 일이라며 친구, 친지, 제자들을 불러 잔치를 하곤 했다지요. 그러면 왜 한글.. 지난 게시판/하루하루가 잔치로세(김영조) 2018.1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