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춧돌 3

(얼레빗 4704호) 높이 80m의 거대한 ‘황룡사구층목탑’

“자장법사가 중국으로 유학해 ‘대화지’라는 연못을 지나는데 갑자기 신인(神人)이 나와서 신라가 처한 어려움을 물었고, 이에 자장이 ‘신라는 북으로 말갈에 잇닿았고, 남으로는 왜국에 이어졌으며, 고구려와 백제 두 나라가 번갈아 국경을 침해 큰 우환입니다.’라고 대답했다. 그러자 신인은 신라가 여자를 임금으로 삼아 덕은 있어도 위엄이 없으므로 이웃 나라에서 침략을 도모하는 것이니 빨리 본국으로 돌아가라 했다. 자장은 이에 ‘내가 귀국한들 무슨 유익한 일이 있습니까?’라고 되묻자 신인은 황룡사의 호법룡(護法龍)이 바로 자신의 큰아들이므로 황룡사에 구층탑을 세우면 주변 아홉 나라가 복종하며, 왕실이 영원히 편안할 것이라고 말했다.” 위는 《삼국유사》에 있는 ‘황룡사구층목탑’을 세우게 된 연유에 관한 이야기입니다..

(얼레빗 4314호) 조선시대 백성의 집은 게딱지?

“상하 신하와 백성의 집에 정한 제도가 없어, 서민 집이 분수에 넘치게 관료 집을 따라가고 관료 저택은 감히 궁궐과도 비슷하다. 사치와 아름다움을 다투어 숭상하여 상하에 순서가 없게 되었으니, 실로 옳지 않은 일이다. 이제부터 친아들, 친형제와 공주는 50칸으로 하고, 대군은 여기..

(얼레빗 4169호) 매우 소박한 모습의 ‘보문사터 당간지주’

절에서는 의식이 있을 때 절의 입구에 ‘당(幢)’이라는 깃발을 달아두는데, 깃발을 달아두는 장대를 ‘당간(幢竿)’이라 하며, 이 당간을 양쪽에서 지탱해 주는 두 돌기둥을 ‘당간지주(幢竿支柱)’라고 합니다. 그런데 이 가운데 옷감으로 만들었던 ‘당’은 오랜 세월 남아 있는 것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