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장 부호 전문 (11) - 21. 줄임표 21. 줄임표(……) (1) 할 말을 줄였을 때 쓴다. (예) “어디 나하고 한번…….” 하고 민수가 나섰다. (2) 말이 없음을 나타낼 때 쓴다. (예) “빨리 말해!” “…….” (3) 문장이나 글의 일부를 생략할 때 쓴다. (예) ‘고유’라는 말은 문자 그대로 본디부터 있었다는 뜻은 아닙니다. …… 같은.. 우리말을 배우자/문장 부호 해설 2020.02.07
문장 부호 전문 (3) - 4. 쉼표 4. 쉼표(,) (1) 같은 자격의 어구를 열거할 때 그 사이에 쓴다. (예) 근면, 검소, 협동은 우리 겨레의 미덕이다. (예) 충청도의 계룡산, 전라도의 내장산, 강원도의 설악산은 모두 국립공원이다. (예) 집을 보러 가면 그 집이 내가 원하는 조건에 맞는지, 살기에 편한지, 망가진 곳은 없는지 확.. 우리말을 배우자/문장 부호 해설 2020.01.30
문장 부호 해설 - 21. 줄임표(……) (2) (4) 머뭇거림을 보일 때 쓴다. (예) “우리는 모두…… 그러니까…… 예외 없이 눈물만…… 흘렸다.” 머뭇거림을 보일 때는 줄임표를 쓴다. 두 어구 사이에 얼마간의 동안이 있음을 나타낸다. (6) 저기…… 있잖아…… 나…… 너한테 할 말이 있어. [붙임 1] 점은 가운데에 찍는 대신 아래쪽.. 우리말을 배우자/문장 부호 해설 2020.01.27
문장 부호 해설 - 21. 줄임표(……) (1) (1) 할 말을 줄였을 때 쓴다. (예) “어디 나하고 한번…….” 하고 민수가 나섰다. 할 말을 줄였음을 나타낼 때는 줄임표를 쓴다. 이때는 줄임표로써 문장이 끝나는 것이므로 줄임표 뒤에는 마침표나 물음표 또는 느낌표를 쓰는 것이 원칙이다. (1) 그는 최선을 다했다. 그러나 성공할지는.. 우리말을 배우자/문장 부호 해설 2020.01.26
문장 부호 해설 - 4. 쉼표(,) (1) (1) 같은 자격의 어구를 열거할 때 그 사이에 쓴다. (예) 근면, 검소, 협동은 우리 겨레의 미덕이다. (예) 충청도의 계룡산, 전라도의 내장산, 강원도의 설악산은 모두 국립공원이다. (예) 집을 보러 가면 그 집이 내가 원하는 조건에 맞는지, 살기에 편한지, 망가진 곳은 없는지 확인해야 한.. 우리말을 배우자/문장 부호 해설 2019.12.18
문장 부호 해설 - 머리말, 차례 머 리 말 문화체육관광부는 2014년 12월 5일 문장 부호 관련 규정의 개정을 주요 내용으로 하는 「한글 맞춤법 일부 개정안」(문화체육관광부 고시 제2014-0039호, 2015년 1월 1일 시행)을 고시하였습니다. 「문장 부호」는 「한글 맞춤법」(1988)의 부록으로 실려 있는데, 26년 만에 새 옷을 입게 .. 우리말을 배우자/문장 부호 해설 2019.11.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