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말을 배우자/문장 부호 해설

문장 부호 전문 (3) - 4. 쉼표

튼씩이 2020. 1. 30. 08:03


4. 쉼표(,)


 (1) 같은 자격의 어구를 열거할 때 그 사이에 쓴다.


     (예) 근면, 검소, 협동은 우리 겨레의 미덕이다.

     (예) 충청도의 계룡산, 전라도의 내장산, 강원도의 설악산은 모두 국립공원이다.

     (예) 집을 보러 가면 그 집이 내가 원하는 조건에 맞는지, 살기에 편한지, 망가진 곳은 없는지 확인해야 한다.

     (예) 5보다 작은 자연수는 1, 2, 3, 4이다.


다만, (가) 쉼표 없이도 열거되는 사항임이 쉽게 드러날 때는 쓰지 않을 수 있다.


     (예) 아버지 어머니께서 함께 오셨어요.

     (예) 네 돈 내 돈 다 합쳐 보아야 만 원도 안 되겠다.


(나) 열거할 어구들을 생략할 때 사용하는 줄임표 앞에는 쉼표를 쓰지 않는다.


     (예) 광역시: 광주, 대구, 대전……


 (2) 짝을 지어 구별할 때 쓴다.


     (예) 닭과 지네, 개와 고양이는 상극이다.


 (3) 이웃하는 수를 개략적으로 나타낼 때 쓴다.


     (예) 5, 6세기               (예) 6, 7, 8개


 (4) 열거의 순서를 나타내는 어구 다음에 쓴다.


     (예) 첫째, 몸이 튼튼해야 한다.

     (예) 마지막으로, 무엇보다 마음이 편해야 한다.


 (5) 문자의 연결 관계를 분명히 하고자 할 때 절과 절 사이에 쓴다.


     (예) 콩 심은 데 콩 나고, 팥 심은 데 팥 난다.

     (예) 저는 신뢰와 정직을 생명과 같이 여기고 살아온바, 이번 비리 사건과는 무관하다는 점을 분명히 밝힙니다.

     (예) 떡국은 설날의 대표적인 음식인데, 이걸 먹어야 비로소 나이도 한 살 더 먹는다고 한다.


 (6) 같은 말이 되풀이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일정한 부분을 줄여서 열거할 때 쓴다.


     (예) 여름에는 바다에서, 겨울에는 산에서 휴가를 즐겼다.


 (7) 부르거나 대답하는 말 뒤에 쓴다.
 
     (예) 지은아, 이리 좀 와 봐.             (예) 네, 지금 가겠습니다.


 (8) 한 문장 안에서 앞말을 ‘곧’, ‘다시 말해’ 등과 같은 어구로 다시 설명할 때 앞말 다음에 쓴다.
 
     (예) 책의 서문, 곧 머리말에는 책을 지은 목적이 드러나 있다.
     (예) 원만한 인간관계는 말과 관련한 예의, 즉 언어 예절을 갖추는 것에서 시작된다.
     (예) 호준이 어머니, 다시 말해 나의 누님은 올해로 결혼한 지 20년이 된다.
     (예) 나에게도 작은 소망, 이를테면 나만의 정원을 가졌으면 하는 소망이 있어.


 (9) 문장 앞부분에서 조사 없이 쓰인 제시어나 주제어의 뒤에 쓴다.
 
     (예) 돈, 돈이 인생의 전부이더냐?
     (예) 열정, 이것이야말로 젊은이의 가장 소중한 자산이다.
     (예) 지금 네가 여기 있다는 것, 그것만으로도 나는 충분히 행복해.
     (예) 저 친구, 저러다가 큰일 한번 내겠어.
     (예) 그 사실, 넌 알고 있었지?


 (10) 한 문장에 같은 의미의 어구가 반복될 때 앞에 오는 어구 다음에 쓴다.
 
     (예) 그의 애국심, 몸을 사리지 않고 국가를 위해 헌신한 정신을 우리는 본받아야 한다.


 (11) 도치문에서 도치된 어구들 사이에 쓴다.
 
     (예) 이리 오세요, 어머님.
     (예) 다시 보자, 한강수야.


 (12) 바로 다음 말과 직접적인 관계에 있지 않음을 나타낼 때 쓴다.


     (예) 갑돌이는, 울면서 떠나는 갑순이를 배웅했다.

     (예) 철원과, 대관령을 중심으로 한 강원도 산간 지대에 예년보다 일찍 첫눈이 내렸습니다.


 (13) 문장 중간에 끼어든 어구의 앞뒤에 쓴다.


     (예) 나는, 솔직히 말하면, 그 말이 별로 탐탁지 않아.

     (예) 영호는 미소를 띠고, 속으로는 화가 치밀어 올라 잠시라도 견딜 수 없을 만큼 괴로웠지만, 그들을 맞았다.


 [붙임 1] 이때는 쉼표 대신 줄표를 쓸 수 있다.


     (예) 나는 ― 솔직히 말하면 ― 그 말이 별로 탐탁지 않아.

     (예) 영호는 미소를 띠고 ― 속으로는 화가 치밀어 올라 잠시라도 견딜 수 없을 만큼 괴로웠지만 ― 그들을 맞았다.


 [붙임 2] 끼어든 어구 안에 다른 쉼표가 들어 있을 때는 쉼표 대신 줄표를 쓴다.


     (예) 이건 내 것이니까 ― 아니, 내가 처음 발견한 것이니까 ― 절대로 양보할 수 없다.


 (14) 특별한 효과를 위해 끊어 읽는 곳을 나타낼 때 쓴다.


     (예) 내가, 정말 그 일을 오늘 안에 해낼 수 있을까?

     (예) 이 전투는 바로 우리가, 우리만이, 승리로 이끌 수 있다.


 (15) 짧게 더듬는 말을 표시할 때 쓴다.


     (예) 선생님, 부, 부정행위라니요? 그런 것 새, 생각조차 하지 않았습니다.


[붙임] ‘쉼표’ 대신 ‘반점’이라는 용어를 쓸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