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장 부호」 일람표 부호 이 름 용 법 . 마침표 • 서술, 명령, 청유 등을 나타내는 문장의 끝에 쓴다. • 연월일을 표시하거나 특정한 의미가 있는 날을 나타낼 때 쓴다. ? 물음표 • 의문문이나 물음을 나타내는 어구의 끝에 쓴다. • 적절한 말을 쓰기 어렵거나 모르는 내용임을 나타낼 때 쓴다. ! 느낌표 • .. 우리말을 배우자/문장 부호 해설 2020.02.08
문장 부호 전문 (9) - 15. 줄표, 16. 붙임표, 17. 물결표 15. 줄표(―) 제목 다음에 표시하는 부제의 앞뒤에 쓴다. (예) 이번 토론회의 제목은 ‘역사 바로잡기 ― 근대의 설정 ―’이다. (예) ‘환경 보호 ― 숲 가꾸기 ―’라는 제목으로 글짓기를 했다. 다만, 뒤에 오는 줄표는 생략할 수 있다. (예) 이번 토론회의 제목은 ‘역사 바로잡기 ― 근대.. 우리말을 배우자/문장 부호 해설 2020.02.05
문장 부호 전문 (3) - 4. 쉼표 4. 쉼표(,) (1) 같은 자격의 어구를 열거할 때 그 사이에 쓴다. (예) 근면, 검소, 협동은 우리 겨레의 미덕이다. (예) 충청도의 계룡산, 전라도의 내장산, 강원도의 설악산은 모두 국립공원이다. (예) 집을 보러 가면 그 집이 내가 원하는 조건에 맞는지, 살기에 편한지, 망가진 곳은 없는지 확.. 우리말을 배우자/문장 부호 해설 2020.01.30
문장 부호 해설 - 15. 줄표(―) 제목 다음에 표시하는 부제의 앞뒤에 쓴다. (예) 이번 토론회의 제목은 ‘역사 바로잡기 ― 근대의 설정 ―’이다. (예) ‘환경 보호 ― 숲 가꾸기 ―’라는 제목으로 글짓기를 했다. 다만, 뒤에 오는 줄표는 생략할 수 있다. (예) 이번 토론회의 제목은 ‘역사 바로잡기 ― 근대의 설정’이.. 우리말을 배우자/문장 부호 해설 2020.01.19
문장 부호 해설 - 4. 쉼표(,) (6) (12) 바로 다음 말과 직접적인 관계에 있지 않음을 나타낼 때 쓴다. (예) 갑돌이는, 울면서 떠나는 갑순이를 배웅했다. (예) 철원과, 대관령을 중심으로 한 강원도 산간 지대에 예년보다 일찍 첫눈이 내렸습니다. 어떤 어구가 바로 다음 말과 직접적인 관계에 있지 않음을 나타낼 때 쉼표를 .. 우리말을 배우자/문장 부호 해설 2019.12.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