첫사랑 5

다 타서 재가 될지라도

다 타서 재가 될지라도뜨겁게 타오르고 나면어둠만 남는다너를 만났을 때 그랬다그날 이후 나는 한 번도웃은 적 없다- 김남권의 시집 《당신이 따뜻해서 봄이 왔습니다》 에 실린시 〈첫사랑〉 전문 -* 이은상 시인이 쓴가곡 '사랑'의 한 구절이 생각납니다."탈대로 다 타시오 타다 말진 부대(부디) 마소타고 다시 타서 재 될 법은 하거니와타다가 남은 동강은 쓰일 곳이 없느니다"사랑은, '다 타서 재가 되도록' 하는 것입니다.내가 재가 될지라도, 나로 말미암아 상대가밝게 빛날 수 있다면 그것만으로도족한 것, 그게 바로 사랑입니다.

(얼레빗 제4767호) 오늘은 첫눈 내린다는 ‘소설’

오늘은 24절기 가운데 스무째로 첫눈이 내린다고 하는 “소설(小雪)”입니다. 소설은 말 그대로 눈이 내리면서 추위가 시작되는데 한겨울에 든 것은 아니고 아직 따뜻한 햇볕이 비치므로 “소춘(小春)”이라고도 부르지요. 소설은 양력 11월 하순에 드는데 “소설 추위는 빚을 내서라도 한다.”라는 속담이 있는가 하면, “초순의 홑바지가 하순의 솜바지로 바뀐다.”라는 속담이 있을 정도로 날씨가 추워집니다. 또 이때는 음력 시월로 “`농공(農功)을 필(畢)`하는 달이다. 추수를 끝내고 아무 걱정 없이 놀 수 있는 달이다.”라고 하여 ”상달“이라 했고, 일하지 않고 놀고먹을 수 있어 ”공달“이라고도 했습니다. 그래서 사람들은 소설 전에 김장하기 위해 서두르고 여러 가지 월동 준비를 합니다. 시래기를 엮어 달고 무말랭이..

한국어 교육, 그리고 우리 - 누구에게나 당연한 문화는 없다

외국어 수업 시간에는 취미 활동을 묻고 답하는 시간이 있다. 주로 초급반에서 여가 시간에 무엇을 하는지 이야기하면서 배운 말을 연습한다. 주말이나 시간이 있을 때 보통 무엇을 하는지 물으면 가까운 곳에서 산책을 한다거나 영화를 보러 간다는 이야기, 또는 다양한 스포츠에 대한 이야기를 한다. 이때 한국어 교재에는 꼭 ‘등산’이 빠지지 않는다. 등산복을 입은 사람들이 산에 가는 그림을 보는 한국어 학습자들의 반응은 다양하다. 고산지대에서 온 학생들은 ‘안 그래도 높은 데 사는데, 굳이 등산을?’이라는 얼굴을 하고, 험한 산이 많은 나라의 학생들은 ‘집 주위에 산이 얼마나 높으면?’이라며 갸우뚱한다. 치안이 좋지 않은 곳에서 온 학생들은 ‘산에 가면 위험한 사람들을 만날 텐데 왜 산에 가느냐’고도 한다. 땅이..

첫사랑(2권) - 조창인

에서 사랑의 힘을 노래했던 작가 조창인은 의 스토리야말로 를 쓰기 전부터 필연적으로 잉태할 수밖에 없었던 근원적 이야기라고 고백한다. 지금까지 발표된 그의 작품들이 부성애와 모성애를 주제로 한 가족간의 사랑이야기였다면, 은 남녀의 사랑을 그 주제로 담고 있기 때문이다. 작가 조창인은 이번 작품을 통해 남녀간의 사랑이 가족 간의 끊어질 수 없는 사랑으로 완성되어 가는 과정을 그리고자 했다고 말한다. 그렇다면 그의 신작 은 전작인 와 의 모태이자, 그가 그토록 천착했던 ‘사랑’에 관한 3부작의 마침표라고 감히 말할 수 있을 것이다. 그래서인지 그에게 남녀간의 사랑은 결코 가볍지가 않다. 너무도 쉽게 내뱉고 주워 담기 급급한 흔해빠진 남녀의 사랑타령도 아니다. 그에게 남녀간의 사랑은 가족이라는 절대적 사랑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