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언 18

국어의 로마자 표기법, 제3장 표기상의 유의점 제1항

제1항 음운 변화가 일어날 때에는 변화의 결과에 따라 다음 각호와 같이 적는다. 1. 자음 사이에서 동화 작용이 일어나는 경우 (보기) 백마[뱅마] Baengma 신문로[신문노] Sinmunno 종로[종노] Jongno 왕십리[왕심니] Wangsimni 별내[별래] Byeollae 신라[실라] Silla 2. ‘ㄴ, ㄹ’이 덧나는 경우 (보기) 학..

제3장 어휘 선택의 변화에 따른 표준어 규정 제5절 복수 표준어 제26항 (3)

⑯ ‘천둥’과 동의어인 ‘우레’는 본래 ‘우르다’의 어간 ‘우르-’에 접미사 ‘-에’가 붙어서 된 말이었는데, 현대에도 꽤 자주 쓰이고 있으므로 표준어로 인정하였다. 종래에는 ‘우레’를 한자어로 보아 ‘우뢰(雨雷)’라 쓰기도 했으나 이는 발음상의 혼동으로 보아 표준어로 ..

제5장 띄어쓰기 제4절 고유 명사 및 전문 용어 제50항

전문 용어란 학술 용어나 기술 용어와 같이 전문적인 영역에서 쓰이는 용어를 말한다. 이러한 전문 용어는 둘 이상의 단어로 이루어졌더라도 하나의 개념을 나타내는 경우가 대부분이므로 붙여 쓸 만하다. 그렇지만 전문 용어는 전문적인 내용을 담고 있기 때문에 의미를 파악하기가 쉽..

제5장 띄어쓰기 제2절 의존명사, 단위를 나타내는 명사 및 열거하는 말 등 제42항

의존 명사는 그 앞에 반드시 꾸며 주는 말이 있어야 쓸 수 있는 의존적인 말이지만, 자립 명사와 같은 명사 기능을 하므로 단어로 취급된다. 따라서 앞말과 띄어 쓴다. 먹을 음식이 없다. / 먹을 것이 없다. 좋은 사람이 많다. / 좋은 이가 많다. 그런데 의존 명사가 조사, 어미의 일부, 접미..

제4장 형태에 관한 것 제2절 어간과 어미 제15항 (1)

체언에 조사가 결합할 때와 마찬가지로 실질 형태소인 어간과 형식 형태소인 어미의 형태를 고정해서 일관되게 적는다. 예를 들어 어간 형태소 '읽-'에 다양한 어미가 결합한 형태를 소리 나는 대로 적으면 다음과 같다. 일꼬 익찌 잉는 일그니 그런데 이렇게 적으면 형태소의 형태가 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