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장 부호」 일람표 부호 이 름 용 법 . 마침표 • 서술, 명령, 청유 등을 나타내는 문장의 끝에 쓴다. • 연월일을 표시하거나 특정한 의미가 있는 날을 나타낼 때 쓴다. ? 물음표 • 의문문이나 물음을 나타내는 어구의 끝에 쓴다. • 적절한 말을 쓰기 어렵거나 모르는 내용임을 나타낼 때 쓴다. ! 느낌표 • .. 우리말을 배우자/문장 부호 해설 2020.02.08
문장 부호 전문 (8) - 13. 겹낫표와 겹화살괄호, 14. 홑낫표와 홑화살괄호 13. 겹낫표(『 』)와 겹화살괄호(≪ ≫) 책의 제목이나 신문 이름 등을 나타낼 때 쓴다. (예) 우리나라 최초의 민간 신문은 1896년에 창간된 『독립신문』이다. (예) 『훈민정음』은 1997년에 유네스코 세계 기록 유산으로 지정되었다. (예) ≪한성순보≫는 우리나라 최초의 근대 신문이다. (예.. 우리말을 배우자/문장 부호 해설 2020.02.04
문장 부호 전문 (5) - 7. 빗금, 8. 큰따옴표, 9. 작은따옴표 7. 빗금(/) (1) 대비되는 두 개 이상의 어구를 묶어 나타낼 때 그 사이에 쓴다. (예) 먹이다/먹히다 (예) 남반구/북반구 (예) 금메달/은메달/동메달 (예) ( )이/가 우리나라의 보물 제1호이다. (2) 기준 단위당 수량을 표시할 때 해당 수량과 기준 단위 사이에 쓴다. (예) 100미터/초 (예) 1,000원/개 (3).. 우리말을 배우자/문장 부호 해설 2020.02.01
문장 부호 해설 - 14. 홑낫표(「 」)와 홑화살괄호(< >) 소제목, 그림이나 노래와 같은 예술 작품의 제목, 상호, 법률, 규정 등을 나타낼 때 쓴다. (예) 「국어 기본법 시행령」은 「국어 기본법」에서 위임된 사항과 그 시행에 필요한 사항을 규정함을 목적으로 한다. (예) 이 곡은 베르디가 작곡한 「축배의 노래」이다. (예) 사무실 밖에 「해와.. 우리말을 배우자/문장 부호 해설 2020.01.18
문장 부호 해설 - 13. 겹낫표(『 』)와 겹화살괄호(≪ ≫) 책의 제목이나 신문 이름 등을 나타낼 때 쓴다. (예) 우리나라 최초의 민간 신문은 1896년에 창간된 『독립신문』이다. (예) 『훈민정음』은 1997년에 유네스코 세계 기록 유산으로 지정되었다. (예) ≪한성순보≫는 우리나라 최초의 근대 신문이다. (예) 윤동주의 유고 시집인 ≪하늘과 바람.. 우리말을 배우자/문장 부호 해설 2020.01.17
문장 부호 해설 - 9. 작은따옴표(‘ ’) (1) 인용한 말 안에 있는 인용한 말을 나타낼 때 쓴다. (예) 그는 “여러분! ‘시작이 반이다.’라는 말 들어 보셨죠?”라고 말하며 강연을 시작했다. 인용한 말 속에 들어 있는 인용한 말을 나타낼 때는 작은따옴표를 쓴다. 인용한 말이므로 큰따옴표를 쓸 만하지만, 바깥쪽의 큰따옴표와 .. 우리말을 배우자/문장 부호 해설 2020.01.10
문장 부호 해설 - 8. 큰따옴표(“ ”) (1) 글 가운데에서 직접 대화를 표시할 때 쓴다. (예) “어머니, 제가 가겠어요.” “아니다. 내가 다녀오마.” (1) “오늘은 어제보다 더 춥구나.” “네, 손발이 꽁꽁 어는 것 같아요.” (2) 말이나 글을 직접 인용할 때 쓴다. (예) 나는 “어, 광훈이 아니냐?” 하는 소리에 깜짝 놀랐다. (예) .. 우리말을 배우자/문장 부호 해설 2020.01.09
문장 부호 해설 - 1. 마침표(.) (2) (1) 서술, 명령, 청유 등을 나타내는 문장의 끝에 쓴다. (예) 젊은이는 나라의 기둥입니다. (예) 제 손을 꼭 잡으세요. (예) 집으로 돌아갑시다. (예) 가는 말이 고와야 오는 말이 곱다. [붙임 1] 직접 인용한 문장의 끝에는 쓰는 것을 원칙으로 하되, 쓰지 않는 것을 허용한다.(ㄱ을 원칙으로 하.. 우리말을 배우자/문장 부호 해설 2019.12.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