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부 표준 발음법 제7장 음의 첨가 제29항 이 조항은 ‘ㄴ’이 첨가되는 현상에 대해 규정하고 있다. 이 조항에 따르면 ‘ㄴ’이 첨가되는 조건은 두 가지이다. 우선 문법적 측면에서 보면 뒷말이 어휘적인 의미를 나타내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영업용’과 같이 접미사 ‘-용’이 결합된 경우에도 ‘ㄴ’이 첨가되지만 이때의 .. 우리말을 배우자/표준어규정 해설 2019.11.19
제2부 표준 발음법 제5장 음의 동화 제20항 이 조항은 유음화 현상에 대해 규정한 것이다. ‘ㄹ’과 ‘ㄴ’이 인접하면 ‘ㄴ’이 ‘ㄹ’에 동화되어 ‘ㄹ’로 바뀌게 된다. 이 현상이 동화에 속한다는 점은 의심의 여지가 없다. 이 현상은 ‘ㄴ’이 ‘ㄹ’에 앞서는 경우와 ‘ㄴ’이 ‘ㄹ’ 뒤에 오는 경우로 나눌 수 있다. (1)은 ‘.. 우리말을 배우자/표준어규정 해설 2019.11.08
제2부 표준 발음법 제4장 받침의 발음 제11항 이 조항은 제10항과 더불어 겹받침이 어말이나 자음 앞과 같은 음절 종성에서 어떻게 발음되는지를 규정하고 있다. 제10항과 반대로 이 조항에서는 겹받침을 이루는 두 개의 자음 중 앞선 자음이 탈락하는 경우를 규정하고 있다. 여기에 따라 은 음절 종성에서 앞선 ‘ㄹ’이 탈락하게 된.. 우리말을 배우자/표준어규정 해설 2019.10.25
제2부 표준 발음법 제3장 음의 길이 제6항 이 조항은 국어의 장단에 대해 규정하고 있다. 내용상 크게 세 부분으로 나눌 수 있다. 첫째, 장단을 구별해서 발음해야 한다는 점, 둘째, 장모음의 실현 위치에 제약이 있다는 점, 셋째, 장단의 변동 현상이 있다는 점을 다루고 있다. 첫째, 장단을 구별해서 발음해야 하는 이유는 장단에 .. 우리말을 배우자/표준어규정 해설 2019.10.20
제5장 띄어쓰기 제3절 보조 용언 제47항 (2) (4) ㄱ. 낙서를 지운다. →낙서가 지워진다. ㄴ. 아기가 예쁘다. →아기를 예뻐한다. ‘낙서가 지워 진다’나 ‘아기를 예뻐 한다’와 같이 띄어 쓰는 일이 있지만 이는 잘못이고, ‘낙서가 지워진다’와 ‘아기를 예뻐한다’로 붙여 써야 한다. 다만, ‘-아/-어 하다’가 구(句)에 결합하는.. 우리말을 배우자/한글맞춤법 해설 2019.08.20
제4장 형태에 관한 것 제4절 합성어 및 접두사가 붙은 말 제30항 (1) 이 조항에서는 사이시옷을 받쳐 적는 조건을 규정하고 있다. 사이시옷을 받쳐 적으려면 아래와 같은 조건을 만족시켜야 한다. 첫째, 사이시옷은 합성어에서 나타나는 현상이므로 합성어가 아닌 단일어나 파생어에서는 사이시옷이 나타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해님’은 명사 ‘해’에 .. 우리말을 배우자/한글맞춤법 해설 2019.07.27
제4장 형태에 관한 것 제4절 합성어 및 접두사가 붙은 말 제28항 'ㄹ' 받침을 가진 말이 합성어나 파생어를 형성할 때 'ㄹ' 받침이 발음되지 않게 바뀐 경우에는 바뀐 대로 적는다. 역사적으로 'ㄹ'은 'ㄴ, ㄷ, ㅅ, ㅈ' 앞에서 탈락하는 일이 적지 않았다. 아래 단어도 그러한 예이다. 나날이(←날+날+-이) 무논(←물+논) 무쇠(←물+쇠) 부넘기(←불+넘-+-기) 아.. 우리말을 배우자/한글맞춤법 해설 2019.07.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