형태소 14

문장의 구조 및 형식 관련 용어들(1)

이번 호와 다음 호에서는 문장의 형성 및 구조와 관련한 여러 문법 용어들을 소개하기로 한다. 우리는 제3회 글에서 ‘단어’에 대해 알아보았다. 단어는 ‘형태소’보다 크거나 같은 문법 단위이므로, 형태론의 최대 단위가 된다. 한편으로는 단어가 모여서 ‘문장’이 만들어지므로 단어는 통사론의 최소 단위가 된다. 이 글에서는 먼저 단어와 문장 사이에 있는 문법 단위들인 ‘구(句)’와 ‘절(節)’에 대해 알아보기로 한다. 단어나 문장만큼은 아니지만 구와 절 역시 관점에 따라 개념 정의가 달라질 수 있어 간략히 설명하기가 매우 까다롭다. 이 글에서는 학교 문법에 익숙한 일반 독자가 이해하기 쉬운 수준에서 필자가 가장 합리적이고 유용하다고 생각하는 설명을 하기로 한다. 구는 두 단어 이상이 모여 일정한 의미를 나타내..

용언의 활용(1)

이번 호와 다음 호에서는 용언의 어간에 어미가 붙어서 어떤 어형을 만드는 것, 곧 어미 활용에 대해 살펴보면서 그와 관련한 문법 용어를 설명하고자 한다. 학교 문법적으로 말하면 서술격 조사 ‘이다’ 역시 활용을 하므로 용언만이 활용하는 것은 아니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학문적으로는 ‘이다’도 대개 형용사의 일종으로 다루어지므로, 활용은 용언의 고유한 특성이라고 해도 틀린 말이 아니다. (1)에서는 ‘먹-’에 어미 ‘-고, -지, -어서, -으면’이 붙어서 단어의 형태가 완성됨을 확인할 수 있다. 단어의 형태를 가리켜 ‘어형’이라고 하는데, 특히 이처럼 어간에 어미가 붙어 이루어진 어형을 활용형이라고 한다. 용언은 활용형이 되지 않고서는 사용할 수 없으므로, 살려 쓴다는 뜻의 활용이라는 말을 쓴다. 활용..

단일어, 합성어, 파생어

앞선 글들에서 우리는 형태소, 단어, 어근, 접사의 개념들을 살펴보았다. 이번 글에서는 이들 개념을 바탕으로 하여 단어의 구조를 파악해 보고, 단어의 구조에 따라 분류된 단어의 종류를 가리키는 문법 용어를 알아보도록 한다. 우선 하나의 형태소가 바로 단어가 되는 경우가 있다. ‘봄, 나라, 살며시’ 등이 그러한 예이다. 이처럼 단순한 구조의 단어를 ‘단일어 (單一語)’라 한다. 이에 반해 둘 이상의 형태소가 결합된 단어를 ‘복합어(複合語)’라 하는데, 복합어는 다시 둘로 나뉜다. 먼저 어근과 어근이 결합하는 것을 ‘합성’이라 하고, 이렇게 만들어진 단어를 ‘합성어(合成語)’라 한다. 그리고 어근과 접사가 결합하는 것을 ‘파생’이라 하고, 이렇게 만들어진 단어를 ‘파생어(派生語)’라 한다. (1)은 모두 ..

단어, 어근, 접사

‘단어’는 ‘문장’과 함께 오랫동안 많은 사람들이 일상어로 사용해 온 말이기 때문에 여러 가지 이질적 특성이 섞여 있어 학문적으로도 설명의 목적에 따라 여러 방식으로 정의되곤 한다. 따라서 전문적으로 언어학을 연구하고자 하는 사람이 아니라면, ‘단어’와 ‘문장’은 그냥 일상적으로 쓰는 대로 이해하는 것이 오히려 나을 수 있다. 이 글에서는 단어의 개념을 아주 간략하게만 살펴보기로 한다. 학문적으로 ‘단어’는 흔히 ‘최소의 자립 형식’으로 정의된다. 따로따로 떼어진 말로 쓰일 수 있는 최소 단위라는 뜻이다. 가령, ‘겨울’이 단어가 되고 ‘동(冬)’이 단어가 되지 않는 이유는 “겨울이 춥다.”는 말이 되지만 “동이 춥다.”는 말이 안 되기 때문이다. 즉 ‘동’은 ‘동계(冬季), 입동(立冬)’ 등의 단어 속..

제2부 표준 발음법 제2장 자음과 모음 제5항 (1)

이 조항은 국어 이중 모음의 수를 규정하고 있다. 여기에 따르면 국어에는 총 11개의 이중 모음이 있다. 이러한 이중 모음은 그 구성 요소 중 하나인 반모음의 종류 및 위치에 따라 다음과 같이 분류할 수 있다. ‘ㅑ, ㅒ, ㅕ, ㅖ, ㅛ, ㅠ’는 각각 반모음 ‘ㅣ[j]’와 단모음 ‘ㅏ, ㅐ, ㅓ, ㅔ,..

제4장 형태에 관한 것 제4절 합성어 및 접두사가 붙은 말 제27항 (1)

이 조항에서는 합성어와 파생어를 구성하는 요소들의 원형을 밝혀 적을 것을 규정하고 있다. 첫째, 둘 이상의 단어가 결합하여 합성어를 이룰 때에는 단어의 원형을 밝혀 적는다. 예를 들어 ‘꽃’과 ‘잎’이 합성어를 이룰 때 [꼰닙]으로 소리가 나지만 단어의 원형을 밝혀 ‘꽃잎’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