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앙’이란 말이 얼마나 다양하게 쓰이고 있는지 알아보자. 먼저 개가 물려고 달려들 때 내는 소리(또는 모양)도 ‘앙’이고, 어린아이가 우는 소리(또는 모양)도 ‘앙’이다. 또 ‘자기의 말이나 물음에 대해 상대의 응답을 재촉할 때 내는 소리’도 ‘앙’이다. 이를테면 “빨리 대답 안 해? 여태 뭐 했어? 앙!”처럼 쓰인다. 한자말 앙(怏)은 앙심(怏心), 앙(殃)은 재앙(災殃), 앙(盎)은 배가 불룩한 동이를 뜻하는 말이다. ‘앙’은 또한 ‘응가’를 뜻하는 제주도 사투리기도 하다.
‘앙’자로 시작되는 말들은 원한(怨恨), 불만(不滿)과 관계가 있는 경우가 많다. ‘앙하다’는 ‘마음속에 맺힌 것이 안 풀려 토라져 있다’는 뜻의 그림씨다. 앙탈은 생떼를 쓰고 고집을 부리거나 불평을 늘어놓는 짓이고, 앙기는 원한이 맺혀서 앙갚음하려고 하는 마음이다. 앙기는 한자말 앙심과 같은 뜻이다.
내 좌우명이 ‘오는 주먹은 받아쳐라’라고 말한 바 있는데, 앙갚음은 이처럼 남에게 받은 그대로 갚아줌을 뜻하는 말이다. 물론 이때 남에게 받은 것은 은혜나 사랑이 아니라 손해나 미움 같은 ‘나쁘거나 부정적인’ 것이다. 한자말로는 반보(反報)라고 한다. 김승연 한화 회장의 보복 폭행 사건이 앙갚음의 전형적인 사례다.
안갚음은 받은 그대로 갚아준다는 점에서는 앙갚음과 같지만, 받은 것이 부모의 사랑이라는 점에서는 앙갚음과 백팔십도로 다르다. 안갚음은 원래 까마귀 새끼가 자라서 늙은 어미에게 먹이를 물어다 주는 일을 가리켰는데, 의미가 확장돼 자식이 커서 부모를 봉양하는 일이라는 뜻으로도 쓰인다. ‘안갚음’이지만 ‘아니 갚음’은 아니다. 한자말로는 반포(反哺)라고 하는데, 그래서 까마귀를 한자말로 반포조(反哺鳥)라고 한다. 포(哺)는 ‘물어다 먹인다’는 뜻을 가진 한자다.
앙살 (명) 엄살을 부리며 버티고 겨루는 짓.
쓰임의 예 ★ 그는 뒷마루로 나가서 마루를 꽝꽝 구르면서, 앙살 대신 몸부림으로 시위를 한다. (이기영의 소설 『고물철학』에서)
이 말만은 꼭 갈무리하자
안갚음 – 자식이 커서 부모를 봉양하는 일. =반포(反哺).
'지난 게시판 > 우리말은 재미있다(장승욱)' 카테고리의 다른 글
166 - 지질하다 (0) | 2019.10.03 |
---|---|
165 - 얄 (0) | 2019.10.02 |
163 – 곰상스럽다 (0) | 2019.09.30 |
162 – 곰비임비 (0) | 2019.09.28 |
161 – 밑두리콧두리 (0) | 2019.09.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