쓴맛·단맛·신맛·짠맛·매운맛을 다섯 가지 맛, 즉 오미(五味)라고 한다. 수많은 맛들 가운데서 뽑힌 맛의 대표선수들인 것이다. 사전에서는 이런 맛들을 어떻게 풀이하고 있을까. 떫은맛을 보기로 들어 보자. ‘떫은맛: 거세고 입 안이 부득부득한 맛. 날감 맛. 삽미(澁味).’ 이렇게 되어 있다(민중 엣센스 국어사전 제4판 특장판 771쪽에서 인용). ‘거세고 입 안이 부득부득한 맛’ 가지고는 떫은맛이 설명이 안 되니까 뒤에 쉽게 이해하도록 ‘날감 맛’을 덧붙인 것이다. 이 사전에는 ‘부득부득하다’라는 말이 실려 있지 않기 때문에 더군다나 ‘부득부득한 맛’이 어떤 맛인지 알기가 어렵다. ‘-하다’가 붙을 수 없는 어찌씨 ‘부득부득’이 올림말에 있기는 하지만, 그것은 ‘부득부득 우기다’의 ‘부득부득’이기 때문에 맛과는 관계가 없다. 맛은 말로 설명하기가 어렵기 때문에 사전에서도 어떤 특정한 사물을 보기로 들어 풀이하고 있다는 이야기를 하려고 했던 것인데 조금 길어졌다. 그래도 떫은맛은 알아듣기 어려우나마 설명을 하려고 시도를 하고 있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가 더 많다. 같은 사전에서 쓴맛을 찾아보자. ‘쓴맛: 금계랍이나 소태 따위의 맛과 같은 맛. 고미(苦味).’로 나와 있다. 보기로 든 것이 좀 어렵다. 소태는 그래도 좀 알 듯 하지만 금계랍은 뭔가. 금계랍이라는 말을 찾아보니 ‘염산퀴닌의 통속적인 이름’이라고 나와 있는데, ‘염산퀴닌’은 뭐고 ‘통속적인 이름’은 또 뭔가 말이다. 누구 데리고 장난하나, 라는 말이 목까지 치밀어 오른다. 반면 짠맛의 풀이는 아주 쉽게 되어 있다. ‘짠맛: 소금 맛과 같은 맛.’ 그래 바로 이거야. 얼마나 간단하고 알기 쉬운가. 모름지기 사전은 이래야 한다고 생각한다. 신맛은 식초나 설익은 살구, 매운맛을 고추와 겨자, 단맛은 꿀, 고소한 맛은 볶은 참깨나 참기름과 같은 맛이라고 설명된다.
소태 (명) 소태나무의 껍질. 약재로 쓰는데 맛이 아주 쓰며, 매우 질겨서 미투리 따위의 뒷갱기, 또는 무엇을 동이는 데 쓴다.
쓰임의 예 ★ 금성은 제 머리 위에 번쩍이는 칼날을 쳐다보며 소태나 먹은 듯이 잔뜩 눈살을 찌푸린 채 말이 없었다. (현진건의 소설 『무영탑』에서)
★ 옳은 말은 소태같이 쓴 법이다. (박경리의 소설 『토지』에서)
이 말만은 꼭 갈무리하자
부득부득 – 억지를 부려 제 생각대로만 하려고 자꾸 우기거나 조르는 모양.
'지난 게시판 > 우리말은 재미있다(장승욱)' 카테고리의 다른 글
189 – 든손 (0) | 2019.10.31 |
---|---|
188 – 드레 (0) | 2019.10.29 |
186 – 짬짜미 (0) | 2019.10.27 |
185 – 짬 (0) | 2019.10.26 |
184 – 봉창하다 (0) | 2019.10.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