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왕실문화 인문강좌(국립고궁박물관)

궁중장식화 - 궁중장식화에는 어떤 것이 있을까(3)

튼씩이 2022. 8. 2. 07:54

(3) 길상적 이야기: 곽분양행락도, 요지연도, 한궁도

 

궁중장식화 중에는 기복적인 이야기를 담은 인물화도 포함되어 있다. 곽분양행락도는 당나라 현종대 안사의 난을 평정하였던 장군, 곽자의의 고사를 주제로 하였다.9) 그는 황제로부터 분양 군왕에 봉해졌을 뿐 아니라, 15명의 자녀를 두고 그들이 고관에 봉직하거나 황실의 가족이 되는 등의 복락을 누렸다. 화면 중앙에 곽자의가 가족에게 둘러싸여 연회를 즐기는 장면이 그려졌고, 화면 좌우에는 가택의 후원과 내실이 펼쳐져 있다.

 

요지연도는 서왕모가 주나라 목왕을 비롯해 각종 신선들을 초대한 연회 장면을 그렸다.10) 삼천년마다 열리는 장수의 과일, 반도(蟠桃)를 기념한 연회인 만큼 축수의 상징으로 사용되었다. 육지의 서왕모와 목왕의 연회장면과 신선들의 바다 장면으로 양분할 수 있다. 요지연의 고사는 중국 기원이지만, 이처럼 연회와 군선도가 결합된 요지연도의 도상은 조선에서 고안한 것으로 여겨진다.

 

한궁도는 상상 속 궁궐의 모습을 그린 그림이다.11) 중국의 궁궐이 연상되는 이유로 한궁도라 불린다. 궁궐은 왕실의 가족이 지내는 공간이자 도교 신선들이 거처하는 공간으로 부귀와 장수의 상징이라 할 수 있다. 조선의 한궁도에는 다양한 화풍과 건축 양식이 혼종된 양상을 보여서 19세기 다양한 문화적 상상력을 볼 수 있다.

 

 

9) 김홍남, 「한국 <郭汾陽行樂圖> 연구」, 『美術史論壇』.34; Seo, Yoojeong, Connecting Across Boundaries: The Use of Chinese Images in Late Chosŏn Court Art from Transcultural and Interdisciplinary Perspectives. University of California phd. diss, 2014, pp. 212-241

 

10) 박본수, 「조선 요지연도 연구」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6).

 

11) 윤민용, 「조선 후기 한궁도 연구」, 『미술사학연구』299(한국미술사학회, 20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