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이 있는 이야기/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한국문화편지 "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3427

튼씩이 2016. 11. 15. 11:15

한국문화편지

3427호 (2016년 11월 14일 발행)

만천교와 세 봉우리를 두드러지게 그린…
섬네일 [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3427] [신한국문화신문=김영조 기자] 겸재(謙齋) 정선(鄭敾, 1676 ~ 1759)은 우리 산천을 가장 우리답게 표현할 수 있는 기법을 창안해 그린 진경산수화의 문을 연 화가입니다. 그가 그린 그림은 그저 실경산수화로 부르지 않고 특별히 “진경산수화(眞景山水畵)”라고 합니다. 그 정선은 금강산을 그린 그림을 참 많이도 그렸습니다. 그런데 그가 그린 금강산 그림은 크게 두 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고 하지요. 그것은 금강전도(金剛全圖)처럼 금강산의 모든 모습을 한 장에 압축해서 그린 그림과 “신묘년 풍악도첩(辛卯年楓嶽圖帖)” 가운데 장안사(長安寺)처럼 한 장소를 두드러지게 그린 그림입니다. 그 “…
이순지, 코페르니쿠스보다 100년 먼저 “지구는 둥글다”
이완용을 종용해 을사늑약을 막후 조정한 이인직
옷감이나 종이가 아닌 나무에 새긴 탱화
붓 잡을 줄도 모르는 사람까지 과거에 응시한다
지난 얼레빗 보기 >

오늘의 머릿기사

더보기
[시가 있는 풍경 36] 상사화 넝쿨
섬네일 [신한국문화신문=김명호 시인] 상사화 넝쿨 하늘에 오르기로 큰 뜻을 품으셨나 기도가 처절하니 누구를 위함인가 온몸을 내려놓고서 나래되…
[오늘 토박이말] 어루꾀다 (사)토박이말바라기와 함께하는 참우리말 토박이말 살리기
섬네일 [신한국문화신문=이창수 기자] [오늘 토박이말] 어루꾀다 [뜻] 1)얼렁거려서 남을 꾀다[보기월] 이것처럼 하기는 힘들겠지만 저도 사람들을어…
몽촌토성서 ‘관(官)’자 새겨진 토기 조각 출토 한성백제박물관, 백제 전성기 대형 포장도로 확인
섬네일 [신한국문화신문=한성훈 기자] 서울시 한성백제박물관(관장 이인숙)은 발굴조사 중인 서울 몽촌토성(夢村土城, 사적 제297호)의 북문터 안쪽에서 백…
서울시극단 제8기 시민연극교실 공연 “꿈, 현실이…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열아홉 꿈을 꾼다!
‘청개구리 연못’에서 청소년들 함께 해요!
원주시, 2016 생생문화재 '관찰사의 관동별곡'
생황과 피아노가 담아낼 5개의 이야기
김치 속 ‘고춧가루’, 항암・면역 효과 있는 유산균…

토박이말 시조

더보기
[토박이말 시조 269] 작은 봄
[신한국문화신문=김리박 시조시인] 289. 작은 봄 상냥한 작은 봄을 가슴에 품…

국악 속풀이

더보기
인천 계양문화회관의 3인 3색(三… [국악속풀이 289]
[신한국문화신문=서한범 명예교수] 지난주에는 고 백인영 명인이 그의 제자들과…

일본 이야기

더보기
한ㆍ일 역사를 공부하는 일본 중학… [맛있는 일본이야기 375]
[신한국문화신문=이윤옥 기자] 지난 2일은 일본 도쿄 한복판에 있는 고려박물관…

눈에 띄는 공연과 전시

더보기
섬네일
생황과 피아노가 담아낼 5개의 이야기
섬네일
편견・왜곡 벽을 깨뜨리는 반전의 법정…
섬네일
안양시, 만안구여성합창단 정기연주회…
섬네일
일본 작가 다나카 이즈미 그림전 '하늘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