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이 있는 이야기/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한국문화편지 "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3467호

튼씩이 2017. 1. 9. 07:58

한국문화편지

3467호 (2017년 01월 09일 발행)

자연경관과 문화유산이 조화를 이룬 “부여 구…
섬네일 [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3467] [신한국문화신문=김영조 기자] 충남 부여 부소산 서쪽 기슭의 백마강 가에 있는 나루터 일대는 “구드래”라고 하여 명승 제63호로 지정돼 있습니다. “구드래”라는 이름은 백제에서 임금이나 왕족을 일컫던 말인 “어라하”라는 말에 큰 사람이라는 뜻인 “구”가 앞에 붙고 그 말 사이에 “ㄷ”이 끼어들어 ‘구ㄷ어라하’가 되고 그것이 다시 줄어들어 ‘구ㄷ으래(구드래)’로 변했다고 하지요. 한편으로는 백제를 오가는 왜의 배들이 구드래 나루터를 통해 백제 서울인 사비에 들어 왔는데, 왜에서 백제를 부를 때 “구다라”라고 부른 것에서 왔다고도 합니다. 그런가 하면 이 이름은 “구들돌”이…
죽은 사람의 영혼을 저세상으로 이끄는 “기마인물형토기…
오늘은 김지섭 의사가 도쿄 황거 이중교에 수류탄을 던진…
늙은 농부의 사랑을 받는 패랭이꽃
세종・세조가 지은 불경언해서 《월인석보(月印釋譜)》
지난 얼레빗 보기 >

오늘의 머릿기사

더보기
“정유년 새해를 맞다” 등 박물관 전시회 풍성 국립민속박물관ㆍ국립중앙박물관ㆍ경기도박물관 외
섬네일 [신한국문화신문=김영조 기자] 정유년 새해를 맞아 온 나라 곳곳 박물관에서는 의미 있는 전시회들이 열린다. 그 가운데 우리가 특별히 눈여겨보아야…
[화보] 오늘도 아쉬움을 느끼면서 돌아선 꽃지의…
섬네일 [신한국문화신문=최우성 기자] 한국에서 꼭 가보아야 할 명소 가운데 10손가락에 속하는 곳이 태안반도 '꽃지 해수욕장 할망 할방섬의 해넘이'다. 계절…
18,000년 전 백두산 흑요석, 대구에서 확인 대구 월성동 구석기유적의 흑요석 원산지 분석 결과
섬네일 [신한국문화신문=한성훈 기자] 국립대구박물관(관장 권상열)은 소장품 연구성과를 담은 《대구 월성동유적 흑요석 원산지 및 쓴자국 분석》을 펴냈다…
[시가 있는 풍경 42] 우 베인 다리에서 1
백제계 행기스님의 유서깊은 절 성곡사를 찾아서
우리 토박이말의 속뜻 - ‘파랗다’와 ‘푸르다’
[화보] 내설악 갚은 곳 불사리를 모신 봉정암
“하룻밤, 축제장이 되는 마을의 놀이마당”
도쿄 코리아타운(신오쿠보) 이제 활기를 되찾나?

토박이말 시조

더보기
[토박이말 시조 297] 으뜸 아침
[신한국문화신문=김리박 시조시인] 으뜸 아침 으뜸 아침 미역 감고 옷 곱게…

국악 속풀이

더보기
“하룻밤, 축제장이 되는 마을의… [국악속풀이 296]
[신한국문화신문=서한범 명예교수] 지난주에는 남사당과 사당패, 그리고 걸립패…

일본 이야기

더보기
일본의 전통문화를 사랑한 독일인… [맛있는 일본 이야기 383]
[신한국문화신문=이윤옥 기자] 일본을 사랑한 푸른 눈의 독일인, 이렇게 말해도…

눈에 띄는 공연과 전시

더보기
섬네일
“정유년 새해를 맞다” 등 박물관 전시…
섬네일
더불어숲에서 신영복 선생의 유작 만나…
섬네일
《조선경국전》, 보물 지정 기념 특별 공…
섬네일
‘쉽게 보는 셰익스피어 시리즈 Ⅱ’ 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