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이 있는 이야기/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한국문화신문 "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3484호

튼씩이 2017. 1. 31. 09:37

한국문화편지

3484호 (2017년 01월 31일 발행)

정유년 새해, 닭의 다섯 가지 덕 생각해보기
섬네일 [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3484] [신한국문화신문=김영조 기자] 우리 겨레는 누구나 태어난 출생연도의 십이지(十二支)를 띠로 구분하여 자신만의 ‘띠’를 가지고 있습니다. 올 4350년(2017) 정유년(丁酉年)은 육십갑자에서 정유(丁酉)년에 해당하는데, 10천간(天干, 갑을병정무시경신임계)에서 붉은색을 의미하는 정(丁) 자와 12지지(地支, 자축인묘진사오미신유술해) 가운데 닭을 뜻하는 유(酉) 자가 만나는 붉은 닭의 해입니다. 시계가 없던 시절에는 수탉의 울음소리를 듣고 날이 밝아옴을 알았습니다. 시간의 흐름을 판단하고 이를 세상에 알려내는 슬기로움을 가진 닭은 옛 사람들의 시계역할을 했을 뿐만 아니라 이 닭이 홰…
한국 청동기시대를 대표하는 “화순 대곡리 청동기”
정유년 새해아침 큰절 올립니다.
한국인의 나이는 설날 떡국으로부터 나온다
고급 공예품 채상을 만드는 장인 채상장(彩箱匠)
지난 얼레빗 보기 >

오늘의 머릿기사

더보기
도쿄 고려박물관에서 연 여성독립운동가 시화전과 특… 지난해 11월 2일부터 올 1월 29일까지 항일여성독립운동가시…
섬네일 [신한국문화신문= 이윤옥기자] “저는 올해 65살입니다만 솔직히 일본의 조선침략 역사에 대해 잘 몰랐습니다. 지인의 권유에 끌려 이번 강연에 참석했…
세종로공원의 한글글자마당, 11172자의 사연 한글학자 김슬옹과 함께 떠나는 한글 여행 2
섬네일 [신한국문화신문=김슬옹 교수] 지난 1월 21일. 한파가 몰아친, 눈발이 날린 토요일, 전국독서새물결모임 독서아카데미 초중고 학생들 37명을 데리고…
정유년 새해아침 큰절 올립니다. [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3482]
섬네일 [신한국문화신문=김영조 기자]
어둠의 나라에 촛불을 켜야
이몽룡, “어사 된 것은 장모의 정성이 절반”
[화보]문무대왕이 용이 되어 드나들던 경주 감은사
천도교 발상지 수운 선생이 득도한 경주 용담정을 찾…
한국춤의 역사를 새로 쓰다 국립무용단 ‘향연’
부석사의 오래된 아주 큰 그림[浮石寺 掛佛]

토박이말 시조

더보기
[토박이말 시조 300] 아구찌개
[신한국문화신문=김리박 시조시인] 아 구 찌 개 겨울은 다들 모아 아구찌개 으뜸…

국악 속풀이

더보기
국악의 대중화를 원한다면 소규모… [국악속풀이 300[
[신한국문화신문=서한범 명예교수] 지난주에는 4색의 판소리마당 가운데 춘향전…

일본 이야기

더보기
“귀신은 물러가고 복은 들어오라… [맛 있는 일본아야기 386]
[신한국문화신문=이윤옥 기자] “절분제(節分祭)는 평소에 신의 가호로 무사히…

눈에 띄는 공연과 전시

더보기
섬네일
신년맞이 어린이와 함께하는 체험전시…
섬네일
하나의 화면 안에 여러 가지 이미지들의…
섬네일
화폭에 담긴 사임당, 그녀의 화원과 만나…
섬네일
대형 설치조형물과 조명장식이 만나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