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이 있는 이야기/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한국문화편지 "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3486호

튼씩이 2017. 2. 2. 08:11

한국문화편지

3486호 (2017년 02월 02일 발행)

세월의 흔적으로 나타난 부식이 아름다운 정병
섬네일 [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3486] [신한국문화신문=김영조 기자] 국립중앙박물관에는 국보 제92호 “청동 은입사 물가풍경 무늬 정병[靑銅 銀入絲 蒲柳水禽文 淨甁]”이 있습니다. 정병(淨甁)이란 원래 인도에서 승려가 여행을 할 때 밥그릇이나 의복과 함께 메고 다니던 물병에서 유래한 것인데, 부처님 앞에 깨끗한 물을 바치는 공양구(供養具)로서의 쓰임새로 발전했습니다. 이 병에 들어 있는 감로수(甘露水)를 통해 모든 중생들의 목마름과 고통을 덜어준다고 하는 관세음보살(觀世音菩薩)의 정병인 것입니다. 처음 이 정병을 본 사람은 병 전체에 초록빛이 띄는 것을 보고 청자라고 생각하기도 합니다만 사실은 이 병의 재질인 청…
고종황제, 일제와 매국노에 의해 독살되었다
정유년 새해, 닭의 다섯 가지 덕 생각해보기
한국 청동기시대를 대표하는 “화순 대곡리 청동기”
정유년 새해아침 큰절 올립니다.
지난 얼레빗 보기 >

오늘의 머릿기사

더보기
젠장, 차별하고 싶어진다 [김용옥 시인의 세상 톺아보기 29]
섬네일 [신한국문화신문=김용옥 시인] 2016년 연말 즈음엔 대한민국 국민에게 분노와 슬픔과 창피를 안겨주었다. 수치스러운 대통령을 세운 국민의 어리석음…
부처님 치아사리가 모셔진 스리랑카 불치사를 가다 국제불교회관 내 한국관 부실 전시 빨리 손봐야
섬네일 [신한국문화신문=스리랑카 캔디 이윤옥 기자] “스리랑카인들은 부처님의 소중한 치아사리를 인도로부터 목숨을 걸고 이곳 불치사로 가져왔습니다.…
국악의 대중화를 원한다면 소규모 창극을 확산시켜라 [국악속풀이 300[
섬네일 [신한국문화신문=서한범 명예교수] 지난주에는 4색의 판소리마당 가운데 춘향전의 이야기, 그 중에서도 어사상봉대목에 대한 이야기였다. 월매와 향단…
불교탄압의 법난을 이겨낸 스리랑카의 조계사 "강가…
정유년 새해아침 큰절 올립니다.
어둠의 나라에 촛불을 켜야
이몽룡, “어사 된 것은 장모의 정성이 절반”
[화보]문무대왕이 용이 되어 드나들던 경주 감은사
천도교 발상지 수운 선생이 득도한 경주 용담정을 찾…

토박이말 시조

더보기
[토박이말 시조 300] 아구찌개
[신한국문화신문=김리박 시조시인] 아 구 찌 개 겨울은 다들 모아 아구찌개 으뜸…

국악 속풀이

더보기
국악의 대중화를 원한다면 소규모… [국악속풀이 300[
[신한국문화신문=서한범 명예교수] 지난주에는 4색의 판소리마당 가운데 춘향전…

일본 이야기

더보기
올바른 한일고대사 책 82권을 쓴… [맛있는 일본 이야기 387]
[신한국문화신문=이윤옥 기자] “배우는데 나이의 많고 적음이란 없다.” 일본…

눈에 띄는 공연과 전시

더보기
섬네일
신년맞이 어린이와 함께하는 체험전시…
섬네일
하나의 화면 안에 여러 가지 이미지들의…
섬네일
화폭에 담긴 사임당, 그녀의 화원과 만나…
섬네일
대형 설치조형물과 조명장식이 만나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