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이 있는 이야기/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한국문화편지 "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3494호

튼씩이 2017. 2. 14. 08:03

한국문화편지

3494호 (2017년 02월 14일 발행)

“종묘제례악”의 보전, 이왕직아악부의 피눈…
섬네일 [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3494] [신한국문화신문=김영조 기자] “종묘제례”(宗廟祭禮)는 조선시대 역대 임금과 왕비의 신위를 모신 종묘에서 제사를 지내는 의식인데, 이 종묘제례 때 연주하는 음악 “종묘제례악(宗廟祭禮樂)”은 그 중요성 때문에 국가무형문화재 제1호로 지정되었습니다. 더 나아가 종묘제례와 종묘제례악은 2001년 유네스코 세계인류구전 및 무형문화유산걸작으로 오른 뒤, 2008년 인류무형문화유산 대표목록에 통합되었습니다. 그러나 이 종묘제례악이 지금까지 전승되는 데는 큰 수난을 겪어왔지요. 원래 조선왕조 때는 이 종묘제례악을 궁중에서 연주하는 음악과 무용에 관한 일을 담당한 관청인 장악원(…
정월대보름에 즐겼던 국가무형문화재 “영산쇠머리대기”
내일은 정월대보름, “용알뜨기”를 해볼까요?
조희룡의 고통을 극복해주었을 그림 “홍매대련(紅梅對聯…
전통 어로시설 “죽방령”이 아름다운 남해 지족해협
지난 얼레빗 보기 >

오늘의 머릿기사

더보기
[화보] 싱가포르의 티벳불교 절 탐방
섬네일 [신한국문화신문=최우성 기자] 싱가포르는 2차세계대전 이후 독립된 작은 도시국가이다.2차 세계대전 이후 버려진 땅이었떤 이곳은 말레이지아 반도…
대한제국의 상징 “황제지보(皇帝之寶)” 수장고 속 왕실유물 이야기
섬네일 [신한국문화신문=한성훈 기자] 최근 국립고궁박물관 소장의 국새 3과(顆) ‘황제지보(皇帝之寶)’, ‘유서지보(諭書之寶)’, ‘준명지보(濬明之寶)…
국립중앙도서관의 또 다른 공간 “기록매체박물관”
섬네일 [신한국문화신문=윤지영 기자] 오늘날 인류 문명과 문화는 기록과 매체를 통해 가능하게 되었다. 기록은 시간과 공간의 한계를 넘어 과거와 미래를 연…
[시가 있는 풍경 44] 꿈속에서
불굴의 항일여성독립운동가 33인 시화전
휴대가 가능했을 옛 사람들의 부뚜막
내일은 정월대보름, “용알뜨기”를 해볼까요?
경주 낭산에서 통일신라 시대 가릉(假陵) 발견
네덜랜드 식민의 흔적이 남아있는 스리랑카 골해변을…

토박이말 시조

더보기
[토박이말 시조 302.] 첫 꾀꼴
[신한국문화신문=김리박 시조시인] 첫 꾀꼴 어디서 결 잠자고 이제야 나타났냐…

국악 속풀이

더보기
“네 놈이 요새 밤이슬을 맞는다고… [국악속풀이 302]
[신한국문화신문=서한범 명예교수] 지난주에는 4색 판소리마당의 마지막 무대로…

일본 이야기

더보기
히구치 유이치가 깨어낸 재일조선… [맛있는 일본 이야기 386]
[신한국문화신문=이윤옥 기자] “일본에 왔다. 오사카와 교토를 거쳐 도쿄 등 각…

눈에 띄는 공연과 전시

더보기
섬네일
풍류사랑방에서 진정한 풍류를 즐겨볼까…
섬네일
해금으로 풀어낸 “로미오와 줄리엣”의…
섬네일
위안부 피해자 한분이 할머니의 마지막…
섬네일
바람은 무슨 색일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