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이 있는 이야기/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한국문화편지 "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3495호

튼씩이 2017. 2. 16. 08:08

한국문화편지

3495호 (2017년 02월 15일 발행)

나라 이름 “조선(朝鮮)”은 어떻게 태어났나…
섬네일 [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3495] [신한국문화신문=김영조 기자] 1392년 7월 17일 임금에 오른 태조는 다음 날 명나라에 사신을 보내 왕조가 바뀐 사실을 알리고 이어서 하루 뒤인 7월 19일에는 왕조가 바뀐 사실을 승인해 달라는 사신을 따로 보냈습니다. 이에 명나라 홍무제는 고려의 일은 고려인들이 알아서 하라고 하고 다만, 나라 이름을 바꾼다면 바로 알려 달라고 합니다. 이 소식을 접한 이성계는 당일 신하들을 모아 놓고 나라 이름에 대한 논의를 했는데 새로운 왕조의 나라 이름으로 ‘조선(朝鮮)’과 ‘화령(和寧)이 추천되었습니다. 조선이라는 이름은 단군조선을 이어받았고 기자조선ㆍ위만조선처럼 이미 예전에 있었던 이…
“종묘제례악”의 보전, 이왕직아악부의 피눈물 나는 노력
정월대보름에 즐겼던 국가무형문화재 “영산쇠머리대기”
내일은 정월대보름, “용알뜨기”를 해볼까요?
조희룡의 고통을 극복해주었을 그림 “홍매대련(紅梅對聯…
지난 얼레빗 보기 >

오늘의 머릿기사

더보기
아주 특별한 윤동주 추모회,도시샤대학을 가다 <일본ㆍ한국ㆍ재일코리언 시인 공동 윤동주 탄생 100주년 기…
섬네일 [신한국문화신문=교토 도시샤대학 이윤옥 기자]어제 13일(월) 오후 3시, 스물일곱의 나이로 순국의 길을 걸은 조선 청년 윤동주를 기리는 한국과 일본…
“네 놈이 요새 밤이슬을 맞는다고” [국악속풀이 302]
섬네일 [신한국문화신문=서한범 명예교수] 지난주에는 4색 판소리마당의 마지막 무대로 흥보가 가운데 형 놀보가 동생 흥부가 부자 되었다는 소식을 듣고 찾…
대한제국의 상징 “황제지보(皇帝之寶)” 수장고 속 왕실유물 이야기
섬네일 [신한국문화신문=한성훈 기자] 최근 국립고궁박물관 소장의 국새 3과(顆) ‘황제지보(皇帝之寶)’, ‘유서지보(諭書之寶)’, ‘준명지보(濬明之寶)…
국립중앙도서관의 또 다른 공간 “기록매체박물관”
[시가 있는 풍경 44] 꿈속에서
불굴의 항일여성독립운동가 33인 시화전
휴대가 가능했을 옛 사람들의 부뚜막
내일은 정월대보름, “용알뜨기”를 해볼까요?
경주 낭산에서 통일신라 시대 가릉(假陵) 발견

토박이말 시조

더보기
[토박이말 시조 302.] 첫 꾀꼴
[신한국문화신문=김리박 시조시인] 첫 꾀꼴 어디서 결 잠자고 이제야 나타났냐…

국악 속풀이

더보기
“네 놈이 요새 밤이슬을 맞는다고… [국악속풀이 302]
[신한국문화신문=서한범 명예교수] 지난주에는 4색 판소리마당의 마지막 무대로…

일본 이야기

더보기
윤동주를 노래하는 재일동포 가수… [맛있는 일본이야기 387]
[신한국문화신문=이윤옥 기자] “윤동주 노래를 통해서 한ㆍ일 간 문화교류의 가…

눈에 띄는 공연과 전시

더보기
섬네일
풍류사랑방에서 진정한 풍류를 즐겨볼까…
섬네일
해금으로 풀어낸 “로미오와 줄리엣”의…
섬네일
위안부 피해자 한분이 할머니의 마지막…
섬네일
바람은 무슨 색일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