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이 있는 이야기/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얼레빗 3566호) 화가의 생각을 잘 드러내는 한국화, 그 종류는?

튼씩이 2017. 5. 26. 10:01

한국문화편지

3566호 (2017년 05월 25일 발행)

화가의 생각을 잘 드러내는 한국화, 그 종류는…
섬네일 [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3566] [신한국문화신문=김영조 기자] 우리나라 사람이 독특한 화법으로 그린 수묵화와 채색화 따위를 통틀어 “한국화”라고 부릅니다. 그 한국화는 재료와 기법에 따라서 수묵화, 수묵담채화, 농채화(수묵채색화)로 나뉩니다. 이 가운데 “수묵화(水墨畵)”는 현란한 채색을 피하고 화선지에 먹의 짙음과 옅음 위주로 그린 그림을 말합니다. 중국 당나라에서 시작되었으며, 우리나라에서는 조선시대에 성행하였습니다. 예로부터 동양인의 미의식과 화가의 생각을 나타내기에 가장 적합한 그림으로 알려졌지요. 수묵화에는 김정희의 <세한도>, 김영국의 <달마도> 같은 그림이 대표적입니다…
구석기 유물이 나온 천연기념물 제342호 “제주빌레못동…
〈아기 업은 여인〉에서 밝혀진 신윤복 이름은 신가권
고려 인종의 능에서 발견된 “청자 참외 모양 병”
아주 곱게 누빈 조선시대 웃옷 소창의
지난 한국문화편지 보기 >

오늘의 머릿기사

더보기
연산군의 한글 탄압과 능이 되지 못한 연산군묘 한글학자 김슬옹과 함께 떠나는 한글 여행 5
섬네일 [신한국문화신문=김슬옹 교수] 서울시 도봉구 방학로 17길 46호 132-8541476(성종 7)∼1506(중종 1). 조선의 제10대 왕./재위 1494∼1506.◓ 장…
작은 것이 아름답다 환경이야기 4
섬네일 [신한국문화신문=이상훈 교수] 환경주의자들이 즐겨 사용하는 표어 가운데 ‘작은 것이 아름답다’는 말이 있다. 이 말은 최초의 환경경제학자라고 말…
휘모리잡가는 해학(諧謔)이 넘쳐나는 노래 [국악속풀이 316]
섬네일 [신한국문화신문=서한범 명예교수] 지난주에는 서울, 경기지방에서 불러온 휘모리잡가 중 비단타령 이야기를 하였다. 이 노래는 앞에서 소개한 판소리…
굳이 한자를 써서 “監査 받는 ‘4대강’”이라고 해…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중앙아시아 문화재 특별 공개
[시가 있는 풍경 55] 너는 기적이 아닐 수 없다
마지막 황제 얼굴 – 순종어진
[화보] 제주인의 성지 삼성혈
화서 이항로와 류인석 유적지를 찾아서

토박이말 시조

더보기
[토박이말 시조 316] 큰곰 별자…
[신한국문화신문=김리박 시조시인] 큰곰 별자리 푸른달 밤하늘은 큰곰이 밝으…

국악 속풀이

더보기
휘모리잡가는 해학(諧謔)이 넘쳐… [국악속풀이 316]
[신한국문화신문=서한범 명예교수] 지난주에는 서울, 경기지방에서 불러온 휘모…

맛있는 일본 이야기

더보기
재일동포 정아미 씨, 족보 등 고문… [맛 있는 일본이야기 401]
[신한국문화신문=이윤옥 기자] “조상님들의 이름자만이라도 새겨진 족보들을…

눈에 띄는 공연과 전시

더보기
섬네일
국립무형유산원, ‘천년의 몸짓 무(舞)’…
섬네일
농장에서 식탁까지, 생활 속 발효과학 한…
섬네일
서울남산국악당 <젊은 소리, 미래의 소…
섬네일
소치 허련의 <육법묘운>을 비롯한 남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