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이 있는 이야기/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얼레빗 3567호) 신라 지증왕 2년(501년)에 세운 ”포항 중성리 신라비”

튼씩이 2017. 5. 26. 10:01

한국문화편지

3567호 (2017년 05월 26일 발행)

신라 지증왕 2년(501년)에 세운 ”포항 중성리…
섬네일 [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3567] [신한국문화신문=김영조 기자]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에는 2009년 5월에 경상북도 포항시 북구 흥해읍 중성리에서 발견된 신라 지증왕 2년(501년)에 세운 것으로 추정되는 국보 제318호 “포항 중성리 신라비”가 있습니다. 이 비는 모양이 일정치 않으며, 12행 20자로 모두 203자의 비문이 오목새김(음각)되어 있는데 위쪽 일부와 오른쪽 일부가 떨어져 나갔을 뿐 비문의 대부분은 판독이 가능할 정도로 양호한 상태입니다. 이 비의 글씨체는 예서로 분류되는데, 고구려의 광개토대왕비와 통하는 고예서(古隸書)로서 신라 특유의 진솔미를 보여줍니다. 또 만든 때도 지증왕 4(503)년의 <포항 냉…
화가의 생각을 잘 드러내는 한국화, 그 종류는?
구석기 유물이 나온 천연기념물 제342호 “제주빌레못동…
〈아기 업은 여인〉에서 밝혀진 신윤복 이름은 신가권
고려 인종의 능에서 발견된 “청자 참외 모양 병”
지난 한국문화편지 보기 >

오늘의 머릿기사

더보기
[전시] 우아하고 화사한 꽃과의 만남 '강사희전'
섬네일 [신한국문화신문=전수희 기자] "화사하다. 화려하다. 고급스럽다. 우아하다. 아름답다. 갖고 싶다." 스카프와 넥타이 그려진 화사한 꽂의 이미지는 보는…
작은 것이 아름답다 환경이야기 4
섬네일 [신한국문화신문=이상훈 교수] 환경주의자들이 즐겨 사용하는 표어 가운데 ‘작은 것이 아름답다’는 말이 있다. 이 말은 최초의 환경경제학자라고 말…
휘모리잡가는 해학(諧謔)이 넘쳐나는 노래 [국악속풀이 316]
섬네일 [신한국문화신문=서한범 명예교수] 지난주에는 서울, 경기지방에서 불러온 휘모리잡가 중 비단타령 이야기를 하였다. 이 노래는 앞에서 소개한 판소리…
굳이 한자를 써서 “監査 받는 ‘4대강’”이라고 해…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중앙아시아 문화재 특별 공개
[시가 있는 풍경 55] 너는 기적이 아닐 수 없다
마지막 황제 얼굴 – 순종어진
[화보] 제주인의 성지 삼성혈
화서 이항로와 류인석 유적지를 찾아서

토박이말 시조

더보기
[토박이말 시조 316] 큰곰 별자…
[신한국문화신문=김리박 시조시인] 큰곰 별자리 푸른달 밤하늘은 큰곰이 밝으…

국악 속풀이

더보기
휘모리잡가는 해학(諧謔)이 넘쳐… [국악속풀이 316]
[신한국문화신문=서한범 명예교수] 지난주에는 서울, 경기지방에서 불러온 휘모…

맛있는 일본 이야기

더보기
재일동포 정아미 씨, 족보 등 고문… [맛 있는 일본이야기 401]
[신한국문화신문=이윤옥 기자] “조상님들의 이름자만이라도 새겨진 족보들을…

눈에 띄는 공연과 전시

더보기
섬네일
[전시] 우아하고 화사한 꽃과의 만남…
섬네일
국립무형유산원, ‘천년의 몸짓 무(舞)’…
섬네일
농장에서 식탁까지, 생활 속 발효과학 한…
섬네일
서울남산국악당 <젊은 소리, 미래의 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