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이 있는 이야기/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얼레빗 3568호) 조선시대 어린이 교재 《아희원람》을 아십니까?

튼씩이 2017. 5. 31. 18:25

한국문화편지

3568호 (2017년 05월 29일 발행)

조선시대 어린이 교재 《아희원람》을 아십니…
섬네일 [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3568] [신한국문화신문=김영조 기자] 조선시대 서당에 처음 다니기 시작하는 아이들에게 《천자문(千字文)》, 《명심보감(明心寶鑑)》, 《소학(小學)》 따위는 기본 교재였습니다. 그러나 이는 성리학자인 양반들이 펴낸 책들이지만 중인이 펴낸 어린이 참고서도 있었습니다. 바로 조선 후기의 중인학자 장혼(張混, 1759-1828)이 쓴 《아희원람(兒戱原覽)》이 그것입니다. 《아희원람(兒戱原覽)》은 옛 책의 글과 책 가운데 아이들이 찾아보아야 할 내용을 열 가지 주제로 가려 뽑은 책이지요. 《아희원람》은 기존에 즐겨 썼던 《소학》 따위에 견주어 아동들이 친근하게 접근할 수 있게 동화나 우화처럼 풀…
신라 지증왕 2년(501년)에 세운 ”포항 중성리 신라비”
화가의 생각을 잘 드러내는 한국화, 그 종류는?
구석기 유물이 나온 천연기념물 제342호 “제주빌레못동…
〈아기 업은 여인〉에서 밝혀진 신윤복 이름은 신가권
지난 한국문화편지 보기 >

오늘의 머릿기사

더보기
연기ㆍ풍물굿ㆍ소통으로 관객을 사로잡은 마당놀이 마당극단 큰들, 60항쟁 30돌 기념 “오작교 아리랑” 공연 열…
섬네일 [신한국문화신문=김영조 기자] 지난 3월 일본 7개 도시에서 성황리에 상연되었던 <극단 큰들>의 마당극 ‘오작교 아리랑’이 드디어 서울 광…
서울 영등포공원서 단오잔치 열려 그네타기, 팔씨름, 투호던지기, 굴렁쇠 돌리기 등 시민들 즐겨
섬네일 [신한국문화신문=이한영 기자] 오는 5월 30일은 우리 겨레의 명절 “단오”다. 이에 맞춰 어제 5월 27일 서울 영등포공원에서는 단오잔치가 열려 시민…
불교문화 유무형의 소리에 담긴 참뜻은 무엇인가? 국립대구박물관 특별전 ‘깨달음을 찾는 소리, 소리로 찾은 진…
섬네일 [신한국문화신문=한성훈 기자] 국립대구박물관(관장 권상열)은 2017년 상반기 특별전시로, 『깨달음을 찾는 소리, 소리로 찾은 진리』를 오는 7월 3…
[전시] 우아하고 화사한 꽃과의 만남 '강사희전'
작은 것이 아름답다
휘모리잡가는 해학(諧謔)이 넘쳐나는 노래
굳이 한자를 써서 “監査 받는 ‘4대강’”이라고 해…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중앙아시아 문화재 특별 공개
[시가 있는 풍경 55] 너는 기적이 아닐 수 없다

토박이말 시조

더보기
[토박이말 시조 317] 누에
[신한국문화신문=김리박 시조시인] 누 에 이제는 돌기름이 누에를 내쫓았고…

국악 속풀이

더보기
휘모리잡가는 해학(諧謔)이 넘쳐… [국악속풀이 316]
[신한국문화신문=서한범 명예교수] 지난주에는 서울, 경기지방에서 불러온 휘모…

맛있는 일본 이야기

더보기
재일동포 정아미 씨, 족보 등 고문… [맛 있는 일본이야기 401]
[신한국문화신문=이윤옥 기자] “조상님들의 이름자만이라도 새겨진 족보들을…

눈에 띄는 공연과 전시

더보기
섬네일
연기ㆍ풍물굿ㆍ소통으로 관객을 사로잡…
섬네일
서울돈화문국악당, 30일 단오 맞이 전통…
섬네일
아일랜드 민요 그리고 우리 민요의 참맛…
섬네일
조립상자로 연출한 현대인의 원색적 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