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이 있는 이야기/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얼레빗 3740호) 고려 전기 원(院)이 있었던 <파주 혜음원터(惠蔭院址)>

튼씩이 2018. 1. 26. 16:29

한국문화편지

3740호 (2018년 01월 26일 발행)

고려 전기 원(院)이 있었던 <파주 혜음원터(惠…
섬네일 [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3740] [신한국문화신문=김영조 기자] 경기 파주시 광탄면 용미리에는 사적 제464호 <파주 혜음원터(惠蔭院址)>가 있습니다. 《동문선(東文選)》 권64기 「혜음사신창기(惠陰寺新創記)」에 혜음원을 세운 배경과 그 과정, 창건과 운영의 주체, 왕실과의 관계 따위가 기록되어 있습니다. 이에 따르면 혜음원은 남경(한양)과 개성 사이를 통행하는 관료 및 백성의 안전과 편의를 위하여 고려 예종 17년(1122)에 나라가 세운 숙박시설이며 임금의 행차에 대비하여 별원(別院)까지 있어 그 규모가 매우 컸을 것으로 보입니다. 고려와 조선시대에 중요한 교통로로 쓰던 혜음령이라는 이름의 유래에서 그…
모두가 하나 되면서 마음을 치유하는 “지신밟기”
어미개와 강아지의 평화스러운 모습 <모견도(母犬圖)>
경복궁에 있는 작은도서관 집옥재
1926년 오늘은 임시정부 노백린 참모총장이 순국한 날
지난 한국문화편지 보기 >

오늘의 머릿기사

더보기
이몽룡은 실존 인물이었다?!, 춘향전 진짜 사랑이야… 국립국악원 예악당, 국립민속국악원 <춘향실록-춘향은 죽었…
섬네일 [신한국문화신문=정석현 기자] 춘향전의 주인공 ‘이몽룡’이 실존 인물이었다는 근거를 바탕으로 한 색다른 창극이 국립국악원 예악당 무대에 오른다…
느리게 사는 것이 행복이다 [이상훈 교수의 환경이야기 15]
섬네일 [신한국문화신문=이상훈 교수] 썰렁한 이야기 한 토막을 소개한다. 거북이가 걸어가다가 벽에 부딪혀 뒤집혀 버렸다. 이 사고의 유일한 목격자인 지렁…
꿀처럼 달콤한 말인 '밀어', 시어로 표현하면? 기자 출신 허필연 시인의 첫 시집 《밀어(蜜語)》, 삶과 자연…
섬네일 [신한국문화신문=김철관 기자] 사랑하는 사이의 연인들이 사랑의 속삭임을 밀어(蜜語)라고 한다. 한 마디로 꿀처럼 달콤한 말이다. 사람과 연인뿐 만 아…
다 비워내야만 비로소 나는 너의 것이 되었다
한국의 108산사, 사진집이 되어 세상에 나오다
조선족 민요협회가 마련한 “어울림의 향연”
새로운 사람은 새해에 새봄을 기뻐하도다
꿀은 백성 집 벌통에 있으니 구할 수 없네
“2천년 불교역사에 남을 소중한 사진집”이란 칭찬…

토박이말 시조

더보기
[토박이말 시조 351] 딸꽃(매화…
[신한국문화신문=김리박 시조시인]

국악 속풀이

더보기
묵계월 연변 제자, 김순희 교수의… [국악속풀이 351
[신한국문화신문=서한범 명예교수] 지난주에는 연변에 조선족민요 협회가 조직…

맛있는 일본 이야기

더보기
인구감소 비명 속에 혼자 득의만만… [맛있는 일본이야기 431]
[신한국문화신문=이윤옥 기자] 고령화 시대를 맞아 일본도 한국처럼 일부 지방도…

눈에 띄는 공연과 전시

더보기
섬네일
세계 최장의 공연 기록을 세우고 있는 <…
섬네일
이몽룡은 실존 인물이었다?!, 춘향전 진…
섬네일
사진가 류은규/누비장 윤병옥, ‘흰옷 생…
섬네일
사진과 레고로 감상하는 천년궁성 경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