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이 있는 이야기/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얼레빗 3862호) 공사장 일꾼에게 약 ‘척서단’을 내려준 정조

튼씩이 2018. 7. 22. 18:09

한국문화편지

3862호 (2018년 07월 17일 발행)

공사장 일꾼에게 약 ‘척서단’을 내려준 정조
섬네일 [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3862][신한국문화신문=김영조 기자] 오늘은 본격적인 더위가 시작되는 초복(初伏)입니다. 여기서 ‘복(伏)’ 자는 사람이 개처럼 엎드려 있는 모양으로, 가을철 금(金)의 기운이 땅으로 내려오다가 아직 여름철의 더운 기운이 강하기 때문에 일어서지 못하고 ‘엎드려 복종한다’는 뜻으로 쓰였습니다. 최남선이 쓴 《조선상식(朝鮮常識)》에는 이 복날을 '서기제복'이라는 뜻으로 풀이하고 있습니다. 곧, 서기제복에서 '복(伏)'은 꺾는다는 뜻으로 써서 복날은 더위를 피하는 피서가 아니라 정복한다는 뜻이라고 이야기하지요. 초복은 삼복의 첫날인데 하지 후 셋째 경일(庚日)을 초복(初伏), 넷째 경일을 중…
교룡이 나와서 춤춘다는 전설의 정방폭포
백병원 설립자 백인제 선생 집에서 한여름 피서를!
독창적인 필체를 개척한 한호 석봉의 글씨
일심(一心) 두 글자 담고 있는 조선시대 수결
지난 한국문화편지 보기 >

오늘의 머릿기사

더보기
안동 선비 순례길에서 만나는 “ 안녕, 능화판 ”한국국학진흥원, 능화판에 새겨진 전통문양 사진전
섬네일 [신한국문화신문=이한영 기자] 한국국학진흥원(원장 이용두)은 우리 전통문화의 값어치와 아름다움을 널리 알리기 위해 원내에 소장된 능화판을 소재…
맛 좋은 오곡 든든하게 먹고 올 여름도 건강하게오곡미숫가루ㆍ오곡라테 만드는 방법 소개
섬네일 [신한국문화신문=성제훈 기자] 오곡(五穀)은 항산화활성과 식이섬유가 풍부하며, 혈당 억제 효과가 있다. 팥과 콩은 눈을 건강하게 하는 안토시아닌이…
병창은 소리와 가야금 연주력이 함께 뛰어나야[서한범 교수의 우리음악 이야기 373]
섬네일 [신한국문화신문=서한범 명예교수] 지난주에는 경북 포항에서 오랜 기간 가야금병창 분야의 연주활동을 해 오고 있는 임종복의 활동상에 관한 이야기…
우리집 “데릴사위” / 전옥선
애터미런, 건강과 나눔 두 마리 토끼 챙겼다
황룡사, 출토유물 7백점 전시로 새롭게 태어나
“로냥(老娘)”과 “신냥(新娘, 신랑)” / 최영숙
이외수 "스승 '지렁이'에게 큰 절하고 싶다"
천지꽃과 백두산

토박이말 시조

더보기
[토박이말 시조 356] 봄 안개
[신한국문화신문=김리박 시조시인]

국악 속풀이

더보기
소리신동 박선웅, 시조창과 만나다[서한범 교수의 우리음악 이야기 376]
[신한국문화신문=서한범 명예교수] 지난주에는 충남지방의 무형문화재인 아래…

맛있는 일본 이야기

더보기
일본서 가장 큰 여름 축제 교토의…[맛있는 일본이야기 451]
[신한국문화신문=이윤옥 기자] 얼마 전 제7호 태풍 “쁘라삐룬”이 일본의 후쿠…

눈에 띄는 공연과 전시

더보기
섬네일
강원문화재단, 누정 전통문화향연 ‘강…
섬네일
몸짓, 붓으로 풀다 신승원 작품전
섬네일
명원문화재단 “2018 명원세계차박람회…
섬네일
안동 선비 순례길에서 만나는 “ 안녕, 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