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이 있는 이야기/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얼레빗 3933) 고려범종 대표하는 “성거산 천흥사 글씨 동종"

튼씩이 2018. 10. 24. 08:56

한국문화편지

3933호 (2018년 10월 24일 발행)

고려범종 대표하는 “성거산 천흥사 글씨 동종…
섬네일 [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3933][우리문화신문=김영조 기자] 국립중앙박물관에 가면 국보 제280호 “성거산 천흥사 글씨 동종(銅鍾)”이 있습니다. 이 동종은 국내에 남아있는 고려시대 종 가운데 가장 큰 종으로서 높이 133cm, 지름 입구 96m입니다. 현재 나라 안에 남아있는 신라 때의 종들 곧 상원사 동종(국보 제36호)과 성덕대왕신종(국보 제29호) 다음으로 크기가 크면서도 제작기법이나 양식이 고려 범종을 대표하는 종이라는 평가입니다. 종 위에는 종의 고리 역할을 하는 용뉴가 여의주를 물고 있는 용의 모습으로 표현되었는데, 용뉴 뒤에 붙은 음통은 대나무 모양이며, 편평한 부분인 천판 가장자리에는 연꽃무늬를 돌렸…
독립운동 성지 임청각 드디어 복원된다
한복의 유행과 왜곡된 한복 시비
낙엽 지는 가을, 땅거미 보고 시름에 잠기다
80년 만에 돌아온 진경산수, <겸재정선화첩>
지난 한국문화편지 보기 >

오늘의 머릿기사

더보기
오늘은 가을바람 가득한 24절기 상강[한국문화재발견] 가을걷이로 한창 바빠 부지깽이도 덤빈다
섬네일 [우리문화신문=김영조 기자] “한밤중에 된서리가 팔방에 두루 내리니, 숙연히 천지가 한번 깨끗해지네. 바라보이는 산 모습이 점점 파리해 보이고, 구…
장군님은 유정하오나, 청룡도는 무정지물[서한범 교수의 우리음악 이야기 390]
섬네일 [우리문화신문=서한범 명예교수] 난주에는 판소리 적벽가 외에도 경기 좌창의 하나인 적벽가와 서도소리의 적벽가도 있다는 이야기, 판소리 적벽가는…
중국 긴 창, 일본은 칼, 우리 겨레는 활[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3915]
섬네일 [우리문화신문=김영조 기자] 중국인들이 우리 겨레를 ‘동이(東夷)’라 불렀는데 여기서 이(夷)는 큰 활(大弓)이라는 뜻이라고 하지요. 그만큼 우리 겨…
독립유공자 6명을 낸 배화여고, 독립운동의 산실
씨앗과 열매 / 김정애
오늘은 흰 이슬이 내리는 24절기 백로(白露)
호미씻이 하고, 들돌 들고 오늘은 백중날
[화보] 천년 신목(神木) 은행나무 있는 양평 용문…
'춤' 자의 무한한 이미지 '몸짓, 붓으로 풀다' 전 열려

우리음악 이야기

더보기
장군님은 유정하오나, 청룡도는 무…[서한범 교수의 우리음악 이야기 390]
[우리문화신문=서한범 명예교수] 난주에는 판소리 적벽가 외에도 경기 좌창의 하…

토박이말 이야기

더보기
[오늘 토박이말]외쪽생각(사)토박이말바라기와 함께하는 참우리…
[우리문화신문=이창수 기자] [토박이말 맛보기] 외쪽생각/(사)토박이말바라…

맛있는 일본 이야기

더보기
‘현대 미술의 성지’라 불리는 <…[맛있는 일본이야기 462]
[우리문화신문=이윤옥 기자] 빨간호박, 노란호박 작품으로 유명한 나오시마(直…

눈에 띄는 공연과 전시

더보기
섬네일
가을 행사 풍성한 조선왕릉으로 가볼까…
섬네일
함안 성산산성 출토 목간, 그 가치를 톺아…
섬네일
박수진·이혜영 피아노 두오 연주회, 11…
섬네일
모노음악극 <괴물>, 판소리와 서양음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