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이 있는 이야기/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얼레빗 4045호) 마을 사람이 하나되는 '광주칠석고싸움놀이'

튼씩이 2019. 3. 29. 10:27

한국문화편지

4045호 (2019년 03월 29일 발행)

마을 사람이 하나되는 '광주칠석고싸움놀이'
섬네일 [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4045][우리문화신문=김영조 기자] 광주광역시 남구 대촌동 칠석마을에는 국가무형문화재 제33호 “광주칠석고싸움놀이”가 전승되고 있습니다. 고싸움놀이는 주로 전라남도 일대에서 정월 대보름 전후에 행해지는 격렬한 남성집단놀이입니다. 고싸움의 고란 옷고름, 고맺음, 고풀이에서 보듯이 노끈의 한 가닥을 길게 늘여 둥그런 모양으로 맺은 것을 말하며, 2개의 고가 서로 맞붙어 싸움을 벌인다 해서 고싸움이라 부르는 것이지요. 고몸체는 단단해야 하므로 큰 통나무를 속에 넣고 동아줄로 감아 곧은 줄을 만듭니다. 고머리나 고몸체 줄은 사람이 걸터앉아도 두 다리가 땅에 닿지 않을 정도로 크지요. 고…
아마존에서 대박난 ‘영주대장간 호미’
호랑이 박제를 놓고 연 조선호랑이 시식회
오늘 한국의용병 참모중장 안중근 순국한 날
민족대표 중 가장 늦게 출소한 이승훈 선생
지난 한국문화편지 보기 >

오늘의 머릿기사

더보기
현재 우리땅에 남아 있는 장승은 없다일제가 왜곡한 ‘장승’과 ‘벅수’ 이야기 1
섬네일 [우리문화신문=황준구 민속문화지킴이] 황준구 선생은 대학에서 디자인을 전공하고 20여 년 동안 '장승'과 '벅수'가 왜곡되고 변질된, 내…
아마존에서 대박난 ‘영주대장간 호미’[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4044]
섬네일 [우리문화신문=김영조 기자] 지난 2월 18일 대구신문에는 “미국을 사로잡은 ‘영주대장간 호미’”라는 제목의 기사가 올랐습니다. 경북도가 지정하…
장승은 일제가 왜곡한 것, 벅수라 불러야[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4031]
섬네일 [우리문화신문=김영조 기자] “누가 감히 ‘벅수’(法首)를 ‘장승’(長?)이라고 부르는가? 우리가 살고 있는 마을을 지켜주고 있는 수호신 역할의…
탑골공원 독립만세, 순식간에 온 장안에
조선의 ‘주의’를 위해 통곡했던 신채호 선생
4000. “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4천회 맞으며
이완용을 개 취급한 노백린 장군 순국한 날
조선시대 중국 가는 사신들 장 싸들고 갔다
치계미ㆍ도랑탕잔치로 어르신을 받드는 입동

우리음악 이야기

더보기
박자가 아닌 또 다른 시간의 단위,…[서한범 교수의 우리음악 이야기]
[우리문화신문=서한범 명예교수] 지난주에는 송서나 시창의 음악적 분위기는 정…

토박이말 이야기

더보기
[오늘 토박이말]입바르다(사)토박이말바라기와 함께하는 참우리…
[우리문화신문=이창수 기자] [토박이말 맛보기] 입바르다/(사)토박이말바라…

맛있는 일본 이야기

더보기
문화재법이 없던 때, 오구라는 조…[맛있는 일본이야기 481]
[우리문화신문=이윤옥 기자] 조선총독부는 1911년부터 유물유적 조사를 시작하…

눈에 띄는 공연과 전시

더보기
섬네일
수원박물관, 수원여성 독립운동가 알리…
섬네일
한국 전통 복식과 직물의 화려한 외출
섬네일
“근대 서화, 봄 새벽을 깨우다”, 큐레이…
섬네일
2019 국립무형유산원 문화행사 연중 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