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이란 무엇인가. 일은 일(一)과 통하는 것, 인생에서 첫째로 꼽아야 하는 것이 일이라고 생각한다. 사람은 일을 통해 자기의 존재를 지탱하고, 일을 통해 자기의 존재를 세상에 드러낸다. 사람을 사람답게 만들어 주는 것, 그것이 일인 것이다. 뿐만 아니라 사람이 하는 모든 몸짓은 일이다. 먹는 일, 쉬는 일, 자는 일, 노는 일도 모두 일 아닌가. 산다는 것 자체가 일이기 때문에 사전에서는 삶을 사는 일이라고 규정하고 있는 것이다.
어떤 일이 시작되는 머리를 첫머리, 들어가는 첫머리를 들머리, 처음 시작되는 판을 첫머리판이라고 한다. 어떤 일의 첫머리를 뜻하는 첫단추, 맨 처음 기회를 뜻하는 첫고등, 맨 처음 국면을 뜻하는 첫밗 같은 말들도 모두 일의 시작을 나타내는 말들이다. 일을 할 대강의 순서나 배치를 잡아 보는 일, 즉 설계(設計)를 하는 일은 얽이라고 하는데, 움직씨로는 ‘얽이친다’고 한다. 얽이에 따라 필요한 사물을 이리저리 변통하여 갖추거나 준비하는 일은 마련이나 장만, 채비라고 한다. 앞으로의 일을 미리 마련해 두는 것은 ‘징거둔다’, 여러 가지를 모아 일이 되도록 하는 것은 ‘엉군다’, 안 될 일이라도 되도록 마련하는 것은 ‘썰레놓는다’고 말한다.
진행되는 일이 잘못되지 않도록 단단히 단속하는 일이 잡도리인데, 설잡도리는 어설픈 잡도리, 늦잡도리는 뒤늦은 잡도리다. 아랫사람을 엄하게 다루다가 조금 자유롭게 늦추는 일은 ‘늑줄준다’고 하고, 늑줄을 주었던 것을 바싹 잡아 죄는 일은 다잡이라고 한다. 감장은 남의 도움을 받지 않고 제 힘으로 꾸려 가는 것이고, 두손매무리는 일을 함부로 거칠게 하는 것, 주먹치기는 일을 계획 없이 그때그때 되는 대로 처리하는 것을 말한다. 남의 일을 짓궂게 훼방하는 짓은 헤살이라고 하고, 돼가는 일의 중간에 방해가 생긴 것은 ‘하리들었다’고 한다.
잡도리 (명) ① 단단히 준비하거나 대책을 세움. 또는 그 대책
② 잘못되지 않도록 엄하게 단속하는 일.
③ 아주 요란스럽게 닦달하거나 족치는 일.
쓰임의 예 – 처녀는 표정이 일변하면서 드러누운 남자 편을 흘깃 곁눈질해 보더니 냉큼 일어설 잡도리를 했다. (이문열의 소설 『흑맥』에서)
-매에 못 이기어 아무렇게나 대어 놓으면 또 잡도리가 시작되는 것이다. (이무영의 소설 『농민』에서)
이 말만은 꼭 갈무리하자
주먹치기 – 일을 계획 없이 그때그때 되는 대로 처리하는 것.
'지난 게시판 > 우리말은 재미있다(장승욱)' 카테고리의 다른 글
092 – 바람 (0) | 2019.07.11 |
---|---|
091 – 높드리 (0) | 2019.07.10 |
089 – 드난 (0) | 2019.07.08 |
088 – 뒷바라지 (0) | 2019.07.07 |
087 – 도르리 (0) | 2019.07.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