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7월 23일 문화재청은 2007년 부여 왕흥사 목탑 터에서 발견되어 공개된 이후 2012년 보물 제1767호로 지정되었던 “부여 왕흥사터 출토 사리기(舍利器)”를 발견한 지 12년 만에 국보 제327호로 승격했다고 밝혔습니다. ‘사리기(舍利器)’란 부처의 사리를 모셔놓은 그릇을 말하는 것입니다.

▲ 국보 제327호 “부여 왕흥사터 사리기 일괄” (왼쪽부터 청동제사리합, 은제사리호, 금제사리병)
이번에 국보가 된 부여 왕흥사터 출토 사리기는 바깥부터 청동제 사리합-은제 사리호-금제 사리병 3겹으로 포개진 채 발견되었는데, 가장 바깥 사리기인 청동제 사리합에는 6줄 29자의 글씨가 새겨져 있습니다. 글의 내용으로 577년(정유년丁酉年) 2월 15일 창왕이 죽은 아들을 위해 왕흥사를 세우고 목탑에 사리기를 넣은 것으로 이는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백제 사리기로 확인되었지요.
이 사리기는 표면에 새겨진 글씨로 제작연대(정유년丁酉年, 577년)를 명확히 알 수 있음은 물론 우리나라에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사리기로서 역사성과 희소성이 있다는 점에서 그 가치를 인정받았습니다. 아울러 예술적인 면에서도 그 모양과 제작기법의 완성도가 높아 ‘검이불루화이불치(儉異不陋華而不侈)’ 곧 ‘검소하지만 누추하지 않고, 화려하지만 사치스럽지 않다.’는 백제의 특징을 가장 잘 보여주는 유물로 일컬어지고 있습니다.

▲ 부여 왕흥사터 출토 사리기(청동제사리합)에 새겨진 글씨
'사진이 있는 이야기 > 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얼레빗 4201호) 연암 박지원, 박제가에게 돈을 꾸다 (0) | 2019.11.05 |
---|---|
(얼레빗 4200호) 일본군이 두려워한 평민의병장 신돌석 (0) | 2019.11.04 |
(얼레빗 4198호) 136년 전 오늘 첫 신문 ‘한성순보’ 창간 (0) | 2019.10.31 |
(얼레빗 4197호) 거대한 두루마리 ‘이인문 필 강산무진도’ (0) | 2019.10.31 |
(얼레빗 4196호) 지금 소주는 고려ㆍ조선시대 소주와 달라 (0) | 2019.10.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