옷감, 종이, 머리털 따위를 자를 때 쓰는 가위는 동서양을 막론하고 그 역사가 깊습니다. 그리스 신화에는 아트로포스(Atropos)가 가위를 들고 정해진 실을 자르는 이야기가 나오며, 중국의 경우에는 후한(後漢)에서 송대(宋代)에 이르는 시기의 무덤 부장품에서 가위가 많이 출토되고 있습니다. 장차(長沙) 계화원(桂花園)의 여성 무덤에서 출토된 가위에는 ‘동진(東晉) 승평(升平) 5년(361)’이라는 기록과 함께 바늘과 가위 등 바느질 도구가 나오기도 했지요.
우리나라에서 발견된 가장 오래된 가위는 신라시대 643년 (선덕여왕 3년) 창건된 분황사석탑에서 출토된 사리함에서 나온 협가위입니다. 모양은 ∝형으로 손잡이는 없고 날을 엇갈리게 하려고 밑부분을 가늘게 둥글린 것이 특징입니다. 고려시대로 가면 철제와 동제(銅製)로 만든 가위를 많이 볼 수 있는데 신라의 것과 같은 ∝형과 오늘날의 X형 모습 등 다양한 가위가 나타납니다. 조선시대는 고려의 것과 비슷한 X형 모양으로 재료는 무쇠가 대부분이고 철과 백동(白銅)을 쓴 것도 있습니다.
전북 진안에는 한국 가위의 역사뿐만 아니라 전 세계 가위의 역사를 한눈에 볼 수 있는 진안가위박물관(전라북도 진안군 진안읍 마이산로 258)이 있습니다. 2016년에 개관한 이 박물관은 가위라는 독창적인 콘텐츠를 선보이는 전 세계 하나뿐인 가위박물관으로 한국과 동양, 서양을 망라한 다양한 형태의 세계 희귀 가위 1,500여 점을 만날 수 있습니다.
'사진이 있는 이야기 > 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얼레빗 4264호) 선조의 얼, 고지도를 필사한 ‘최현길 선생’ (0) | 2020.01.30 |
---|---|
(얼레빗 4263호) 쉽고 재미난 《경복궁 중건 천일의 기록》 (0) | 2020.01.29 |
(얼레빗 4261호) ‘구정’이 아니라 ‘설날’이라 하자 (0) | 2020.01.27 |
(얼레빗 4260호) 2020 쥐띠해, 새해인사 올립니다 (0) | 2020.01.26 |
(얼레빗 4259호) 새해인사, ‘마침형 덕담’으로 해볼까요? (0) | 2020.01.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