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인께서는 고지도 원본 위의 한자를 일필(一筆)로 똑같이 써 내려가기 위해 글씨 연습에 날마다 아침 2시간씩 3년을 투자하셨습니다. 고인께서 영인본으로 접한 고지도의 양은 1,000점을 넘었지만, 지병이 악화되어 전라남도 순천시에서 생을 마감한 2007년 7월 31일까지 필사한 고지도는 100점이 되지 못합니다.” 이는 생의 마지막까지 고지도 필사를 하던 최현길(1952~2007) 선생의 배우자인 전소연 여사의 말입니다.

▲ 고지도 필사에 전념하는 최현길 선생
전소연 여사는 2018년 4월 남편인 고 최현길 선생이 필사한 고지도 35종 65점을 국립중앙도서관에 맡긴 바 있습니다. 이 가운데 우리나라 전도인 『동여도』는 그 길이가 남북 7m에 이르는 초대형 (23첩) 작품입니다. 최현길 선생은 40대 중반까지 광고계에 몸을 담고 있다가 지병으로 전원생활을 시작하면서 2000년대 초 규장각에서 영인해서 펴낸 고지도의 아름다움에 큰 감명을 받고 본격적인 필사에 전념했습니다. 특히, 선생은 ‘전라도흥양현발포진지도’와 같이 국토를 아름답게 그려낸 회화의 관점에서 고지도를 골라 필사 작업에 매달렸지요.
최현길 선생이 기증한 고지도 필사본은 ‘아름다운 필사, 최현길 고지도 기탁전’(2019.1.8.~4.30)이란 이름으로 국립중앙도서관 고문헌전시실에서 전시하기도 했습니다. 그때 국립중앙도서관 전시 관계자는 “선생께서 고지도를 필사한 이유는 선조들의 영혼이 담긴 아름다운 고지도가 국민에게 조금이라도 더 자주 더 가까이 다가갈 수 있기를 바라는 소망 때문이었다.”라고 말한 적이 있습니다. 선조들의 얼이 담긴 고지도를 필사한 최현길 선생의 혼이 담긴 작품은 《아름다운 필사, 최현길 고지도 기탁전》, 국립중앙도서관 고문헌과 [편] (국립중앙도서관, 2019)이란 책에 고스란히 담겨있습니다.

▲ 국립중앙도서관에 전시됐던 ‘전라도흥양현발포진지도’ 모사본
'사진이 있는 이야기 > 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얼레빗 4266호) 내일은 입춘, 적선공덕행을 해볼까? (0) | 2020.02.03 |
---|---|
(얼레빗 4265호) 대한민국임시정부 국무총리를 지낸 이동휘 선생 (0) | 2020.01.31 |
(얼레빗 4263호) 쉽고 재미난 《경복궁 중건 천일의 기록》 (0) | 2020.01.29 |
(얼레빗 4262호) 한국과 전 세계 가위의 역사, ‘진안가위박물관' (0) | 2020.01.28 |
(얼레빗 4261호) ‘구정’이 아니라 ‘설날’이라 하자 (0) | 2020.01.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