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 소괄호( ( ) )
(1) 주석이나 보충적인 내용을 덧붙일 때 쓴다.
(예) 니체(독일의 철학자)의 말을 빌리면 다음과 같다.
(예) 2014. 12. 19.(금)
(예) 문인화의 대표적인 소재인 사군자(매화, 난초, 국화, 대나무)는 고결한 선비 정신을 상징한다.
(2) 우리말 표기와 원어 표기를 아울러 보일 때 쓴다.
(예) 기호(嗜好), 자세(姿勢)
(예) 커피(coffee), 에티켓(étiquette)
(3) 생략할 수 있는 요소임을 나타낼 때 쓴다.
(예) 학교에서 동료 교사를 부를 때는 이름 뒤에 ‘선생(님)’이라는 말을 덧붙인다.
(예) 광개토(대)왕은 고구려의 전성기를 이끌었던 임금이다.
(4) 희곡 등 대화를 적은 글에서 동작이나 분위기, 상태를 드러낼 때 쓴다.
(예) 현우: (가쁜 숨을 내쉬며) 왜 이렇게 빨리 뛰어?
(예) “관찰한 것을 쓰는 것이 습관이 되었죠. 그러다 보니, 상상력이 생겼나 봐요.” (웃음)
(5) 내용이 들어갈 자리임을 나타낼 때 쓴다.
(예) 우리나라의 수도는 ( )이다.
(예) 다음 빈칸에 알맞은 조사를 쓰시오.
민수가 할아버지( ) 꽃을 드렸다.
(6) 항목의 순서나 종류를 나타내는 숫자나 문자 등에 쓴다.
(예) 사람의 인격은 (1) 용모, (2) 언어, (3) 행동, (4) 덕성 등으로 표현된다.
(예) (가) 동해, (나) 서해, (다) 남해
'우리말을 배우자 > 문장 부호 해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문장 부호 전문 (8) - 13. 겹낫표와 겹화살괄호, 14. 홑낫표와 홑화살괄호 (0) | 2020.02.04 |
---|---|
문장 부호 전문 (7) - 11. 중괄호, 12, 대괄호 (0) | 2020.02.03 |
문장 부호 전문 (5) - 7. 빗금, 8. 큰따옴표, 9. 작은따옴표 (0) | 2020.02.01 |
문장 부호 전문 (4) - 5. 가운뎃점, 6. 쌍점 (0) | 2020.01.31 |
문장 부호 전문 (3) - 4. 쉼표 (0) | 2020.01.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