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3월 24일 서울옥션에서는 제155회 미술품 경매가 열렸습니다. 이때 눈에 띄는 것은 정약용이 쓴 《행초 다산사경첩(行草 茶山四景帖)》이었습니다. 이는 다산 정약용(丁若鏞, 1762-1836)이 유배 시절부터 적어온 시와 글들의 모음입니다. 전남 강진에 머물던 1809년에 쓴 〈다산사경(茶山四景)〉과 1818년에 쓴 〈순암호설(淳菴號說)〉, 유배가 끝난 후인 1823년에 쓴 〈여다산제생문답(與茶山諸生問答)〉, 그리고 정확한 제작연대를 알 수 없으나 유배 초로 추정되는 오언시 등을 담고 있습니다. 행서가 주를 이루며, 일부 다산의 초서도 엿볼 수 있는 작품이지요.

▲ 정약용의 《행초 다산사경첩(行草 茶山四景帖)》(서울옥션 제공)
작품은 보물 제1683-1호로 지정되어, 정약용의 가족사랑을 노을빛 치마에 새긴 보물번호 1683-2호 《하피첩(霞帔帖)》과 함께 다산의 유배시절을 대표하는 서첩으로 손꼽힙니다. 유배의 설움을 딛고 주변의 일상과 자연풍경에 주목하며, 그 세심한 관찰력을 발휘한 작품이지요. 많은 이들에겐 자칫 악몽과도 같을 유배지의 생활이 다산에게는 또 다른 무언가를 연구할 기회였으며, 유배가 풀린 뒤에도 초당 주변의 풍경을 그리워하고 미물에 대한 관심과 물음을 아끼지 않은 다산의 인간적인 면모가 드러나 이 작품을 통해 또 한 번 감탄을 자아내게 만듭니다.
우리나라에는 유배가 만들어준 대학자가 둘 있습니다. 바로 다산 정약용과 추사 김정희가 그들이지요. 그들은 화가 날 때도, 외로울 때도, 슬프고 지치고 서러움이 복받칠 때도 붓을 들어 고통을 잊었습니다. 다산은 유배기간 18년 동안 500여 권에 달하는 책을 썼으며, 추사는 13년의 유배기간 동안 아무도 넘볼 수 없는 으뜸 글씨체 추사체를 완성해 예술가로서 으뜸 경지에 올랐습니다.
'사진이 있는 이야기 > 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얼레빗 4312호) 부귀와 장수를 소망한 ‘모란도 병풍’ (0) | 2020.04.07 |
---|---|
(얼레빗 4311호) 우리말로 시문을 써야 한다고 한 김만중 (0) | 2020.04.06 |
(얼레빗 4309호) 억압받는 여성들의 삶, ‘내방가사’로 (0) | 2020.04.02 |
(얼레빗 4308호) 만우절 거짓말, 영국 BBC의 ‘스파게티나무’ (0) | 2020.04.01 |
(얼레빗 4307호) 세상에는 붉은 꽃만 있는 것은 아니라네 (0) | 2020.03.31 |